스포츠조선

한림대성심병원 고난도 로봇 신장이식 수술 2건 성공…전국 5번째

장종호 기자

기사입력 2023-08-23 09:04 | 최종수정 2023-08-23 09:05


올해 1월과 3월 로봇 수술기를 이용한 신장이식에 성공한 한림대학교성심병원이 전국 5번째 고난도 로봇 신장이식 성공 사례를 기록했다.

두 환자 모두 6개월 뒤 예후도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신장이식은 정교한 미세문합 기술이 필요한 고난도 수술이다. 특히 로봇 수술기를 이용한 신장이식은 국내에서 거의 시행되고 있지 않다. 우리나라에서는 2019년 처음 선보였다.

한림대성심병원 신장내과 김성균 교수·외과 임성준 교수팀은 1월 30일 장기간 혈액투석 중인 말기신부전 환자 A씨에게 로봇수술기 다빈치Xi를 이용해 A씨 어머니의 신장을 이식했다. A씨는 7년 전부터 말기신부전 진단을 받았으나 올해 들어 신장 기능이 급격히 악화돼 신장이식을 받아야 하는 상황이었다.

임성준 교수팀은 로봇을 이용한 신장이식 수술을 성공적으로 시행했다. A씨는 현재 혈청 크레아티닌 0.7㎎/dL, 사구체 여과율 90 이상으로 수술 후 6개월이 지난 현재까지 건강하게 신장 기능을 유지하고 있다.

또 다른 말기신부전 환자 B씨도 전신 부종과 요독수치 상승으로 투석이 필요한 상태로, 3월 6일 B씨 오빠의 신장을 이식받을 수 있게 됐다. 로봇 신장이식술을 받은 그녀는 5일 만에 퇴원하면서 수술 부작용 없이 5개월째 건강한 모습으로 외래 진료를 받고 있다.

로봇 신장이식 수술의 장점은 최소 절개와 빠른 회복 속도다. 개복수술을 통한 신장이식은 절개창이 대략 20㎝ 정도로 매우 큰 반면 로봇 신장이식 수술은 절개 범위가 7㎝와 1㎝ 정도의 작은 구멍 4개로 이식 수술이 가능하다. 따라서 수술 후 통증과 상처감염, 탈장, 림프액 합병증 발생 확률이 낮고 회복이 빨라 수술 후 입원기간이 짧다. 특히 고도 비만인 환자에서는 합병증을 최소화하면서 정교한 수술이 가능하다.

김성균 교수는 "한림대성심병원은 2001년 첫 신장이식에 성공한 뒤 현재까지 118례의 신장이식 성공이라는 풍부한 경험을 갖고 있다. 생체 신장이식 환자의 5년 생존율은 98%로 국립장기조직혈액관리원의 가장 최근 보고인 2021년 전국 평균 96.3%보다 높은 생존율이다"며 "특히 5년 이식편 생존율(이식 후 재투석 없이 신장 기능을 유지하는 상태)에서는 생체 97%, 뇌사자 80%로 수술 후 장기의 예후도 좋다"고 말했다. 또 김 교수는 "우리 병원이 연속으로 로봇 신장이식 수술에 성공함으로써 앞으로 더 많은 말기신부전 환자에게 도움이 되는 치료법을 제공하리라 믿는다"고 전했다.

한편 신장이식 환자는 고난도 수술을 합병증 없이 받는 것도 중요하지만, 수술 후 외래를 자주 다니며 장기 상태를 체크하는 것이 이식편 기능을 유지하는 데 필수적이다. 상태 체크에 있어 가장 중요한 것 중 하나가 면역억제제 농도 검사인데, 이를 위해선 아침 일찍 병원을 방문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따라서 이식 후 컨디션 조절이 중요한 이식환자에게 거주지와 병원 간의 거리와 병원 시스템의 편리함 등이 중요하다.
장종호 기자 bellho@sportschosun.com


한림대성심병원 고난도 로봇 신장이식 수술 2건 성공…전국 5번째
김성균 교수(왼쪽)와 임성준 교수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