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하대학교 이문상·함명관 신소재공학과 교수 연구팀이 2차원 나노 소재 도핑 기술을 활용한 차세대 인공 시냅스 소자를 개발했다.
이를 위해선 시냅스의 다양한 연결강도를 표현하는 고성능 아날로그 인공 시냅스 소자가 필요하다. 차세대 인공 시냅스 소자는 선형성, 대칭성, 멀티레벨 저장 등 시냅스 특성이 강화된 소자 구현이 중요하지만 기존 2차원 나노소재 트랜지스터 기반의 인공 시냅스 소자는 이를 구현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
연구팀은 2차원 나노 소재 물질 중 하나인 텅스텐 다이셀레나이드 (tunsten diselenide·WSe2)의 도핑 기술을 활용해 선형성, 대칭성, 멀티레벨 저장 능력이 향상된 인공 시냅스 소자를 구현하면서 차세대 뉴로모픽 컴퓨팅 적용 가능성을 확인했다.
이문상 인하대학교 신소재공학과 교수는 "2차원 나노 소재를 이용해 시냅스 특성이 강화된 인공 시냅스 소자를 구현한 점에서 뉴로모픽 엣지 컴퓨팅 응용 가능성을 밝혔다는 데 큰 의의가 있다"며 "최종 사용자를 타겟으로 한 차세대 고성능 인공지능 엣지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한 연구 결과"라고 말했다.
함명관 인하대학교 신소재공학과 교수는 "이번 연구로 기존 2차원 나노 소재가 가지고 있는 단점을 극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연구 성과는 재료공학 분야의 세계적인 학술지인 ACS Applied Materials & Interfaces 온라인판에 최근 표지 논문으로 선정돼 게재됐다. 제1저자는 인하대학교 신소재공학과 석사과정인 박진아 학생이며 김승규, 박규민, 윤지찬, 박지향, 유보림 학생이 공동연구를 진행하고 공동교신저자로 이문상, 함명관 교수가 참여했다.
장종호 기자 bellho@sportschosun.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