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의 올해 상반기 말 기준 '미사용 마일리지' 규모가 3조4000억원을 넘어서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연수익이란 최초 매출 거래 시점에 마일리지 금액을 수익으로 환산하지 않고 추후 마일리지 소진 때 인식되는 수익을 말한다. 재무제표상으로는 부채로 간주한다. 이연수익 금액만큼 마일리지가 쌓여있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코로나 이전인 2019년 상반기 말 이연수익과 비교하면 대한항공은 2조1951억원에서 12.2%, 아시아나항공은 7057억원에서 33.6% 각각 증가했다. 두 회사 합산 기준으로는 2조9008억원에서 17.4% 늘었다.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은 이러한 '부채'를 축소하고 고객 편의를 높이는 차원에서 마일리지를 사용할 수 있는 서비스를 지속 도입·확대하고 있다.
먼저 대한항공은 항공권 운임의 일부를 마일리지로 결제할 수 있는 '캐시 앤 마일즈'를 운영 중이다. 지난 10일부터 마일리지 사용 한도를 운임의 최대 20%에서 30%(세금·유류할증료 제외)로 늘렸다. 지난 6월부터는 기내면세품도 마일리지로 결제할 수 있도록 개선하고, 마일리지 항공권을 구매할 때 할인받을 수 있는 노선을 모아서 안내해 주는 '보너스 핫픽' 서비스를 상시 운영하고 있다.
아시아나항공은 상반기 동남아시아와 일본, 시드니, 호놀룰루 등 다양한 노선에서의 마일리지 환급 프로모션을 통해 마일리지 좌석을 늘려 왔다고 설명했다.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 합병 절차가 진행 중이 가운데 두 항공사의 마일리지 사용 서비스 확대는 통합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부채를 축소하려는 사전 작업이라는 분석이다.
조민정 기자 mj.cho@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