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포츠조선 장종호 기자] 성장기 청소년의 겨드랑이나 목덜미, 사타구니 등 피부가 접히는 부위가 때를 밀지 않은 것처럼 검게 변하면 흑색가시세포증을 의심해 봐야 한다. 특히 비만인 경우에는 전문의를 찾아 정확한 진단을 받아 보는 게 좋다.
또한 이러한 청소년의 경우 과거 비알코올성지방간으로 불렸던 대사이상관련지방간질환(MASLD)이 함께 있을 수 있어 이에 대한 평가 및 치료가 필요하다.
흑색가시세포증의 가장 효과적인 치료법은 체중감량이다. 체중감량을 통해 대사증후군이나 비만에 의한 합병증이 개선되면 증상은 대부분 자연적으로 소실된다.
특히 "어릴 때 찐 살은 키로 간다는 속설을 경계하고, 적극적으로 비만을 치료해야 한다"며 "약물치료 외에도 식습관이나 생활 습관 개선, 적절한 운동 등으로 개선할 수 있기 때문에 가족이 함께 노력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장종호 기자 bellho@sportschosun.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