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포츠조선 장종호 기자] 여름은 기온과 습도가 높아 쉽게 피로하고 탈수되기 쉬운 계절이다. 이러한 계절 변화는 몸의 균형을 유지하는 기능에 영향을 미쳐 어지럼증이 생길 수 있다. 어지럼증을 유발하는 질환, 원인은 무척 다양하다. 이 중에서도 급성 현기증을 일으키는 가장 대표적인 내이(內耳)질환인 '메니에르병' 환자들은 여름에 특히 조심해야 한다.
여름철에는 내림프액의 부피와 압력 변화가 심해져 메니에르병 환자들에게서는 어지럼증과 이명이 빈번하게 나타난다. 땀을 많이 흘려 체내 전해질 불균형이나 탈수가 오면 이 또한 내이 기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또한 여름철 장마나 태풍 등의 기압 변화가 귀 안의 압력 조절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메니에르병은 청력검사로 저주파 청력 손실 여부를 확인한다. 이후 전정기능검사(VNG)를 시행해 눈의 움직임으로 평형 기능을 확인한다. MRI 검사는 뇌혈관 질환 등 타 질환과의 감별을 위해 시행할 수 있다. 약물치료에서는 이뇨제와 저염식을 함께 하면 내림프압을 낮추는 효과가 커진다.
세란병원 뇌신경센터 신경과 이한상 과장은 "메니에르병은 어지럼증 이외에 귀의 증상이 함께 나타나며 난청, 이명이 가장 흔한 동반 증상이다. 이러한 증상이 반복적으로 나타나면 영구적인 청력 저하가 발생할 수 있다"며 "증상이 반복되면서 삶의 질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약물과 식이요법, 스트레스 관리가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이한상 과장은 "여름철에는 열대야와 탈수, 땀 배출로 체내 수분이 부족해지고 나트륨 수치가 높아져 메니에르병에 더 취약할 수 있다"며 "수분 섭취를 충분히 하고 염분 섭취를 조절하며 무더위를 피하는 것이 메니에르병 관리에 도움이 된다. 필요시에는 이뇨제 복용과 MRI 검사를 시행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장종호 기자 bellho@sportschosun.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