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포츠조선 장종호 기자] 자외선에 오래 노출된 피부는 타거나 살갗이 벗겨진다. 강한 햇빛과 폭염이 이어지는 한여름에는 자외선으로부터 건강을 지켜야 하는데, 이는 눈 건강도 예외가 아니다. 우리의 눈도 자외선에 오래 노출이 될 경우 화상을 입는다. 눈이 강한 자외선에 노출된다면 각막 상피에 화상을 입으며 통증을 유발하는 광각막염이 발생한다.
세란병원 안과센터 김주연 센터장은 "해변에서는 강한 자외선과 반사광 효과가 있음에도 많은 사람들이 선글라스를 착용하지 않거나 UV 차단 기능이 없는 렌즈를 착용한다"며 "자외선 차단 기능이 없는 선글라스는 동공을 확대시켜 오히려 자외선 노출을 증가시킬 수 있다"고 설명했다.
어린이는 성인보다 눈이 더 민감하고 보호 본능이 부족해 광각막염에 더 쉽게 노출된다. 어린이의 각막과 수정체는 상대적으로 더 투명해 자외선이 망막까지 도달할 가능성이 높다. 선글라스나 모자 착용 습관이 부족하고 햇빛을 오래 쳐다보는 경우도 흔하다. 따라서 부모들은 아이들에게 UV400 이상 차단되는 어린이용 선글라스를 사용하도록 교육해야 한다.
김주연 센터장은 "광각막염은 대부분 24~72시간 내에 회복되지만 증상이 악화되면 2차 감염을 예방하기 위해 항생제 안약, 진통제 등을 처방한다"며 "광각막염은 충분히 예방할 수 있기 때문에 자외선 지수가 강한 시간대를 피해 활동하고, 어른에 비해 눈 자체가 연약한 아이들은 보호자의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주연 센터장은 "꼭 여름이 아니더라도 보호안경 없이 용접할 경우, 락스 사용 등 일상적인 행동에 의해 광각막염이 생기는 경우도 많다"며 "자외선 차단 선글라스를 선택할 때는 짙은 색상보다 UV 차단 기능 유무가 더 중요하며, 용접과 스키 등 특수 환경에서는 보호장비가 필수다. 렌즈 착용자나 어린이의 경우 광각막염 예방에 더 신경 써야 한다"고 당부했다.
장종호 기자 bellho@sportschosun.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