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세계 자동차 2위인 폭스바겐스룹그룹이 2025년 상반기 부진한 실적을 거뒀다. 매출액은 소폭 늘었지만 미국 관세 영향과 중국 판매부진이 이어지면서 영업이익이 전년 동기 대비 3분의 1이나 급락했다.
2025년 상반기 매출액은 1584억 유로(257조원)로 전년(1588억 유로)과 비슷한 수준을 유지했다. 상대적으로 2025년 상반기 영업이익은 67억 유로(10조8천억원)로 전년 동기(100억 유로) 대비 33%나 감소했다. 매출액대비 영업이익률은 4.2%에 그쳤다.
2025년 상반기 차량 판매량은 436만대로 전년 동기(434만대)를 소폭 상회했다. 남미(+19%), 서유럽(+2%), 중 동부 유럽(+5%) 시장의 성장률이 중국(-3%)과 주로 관세로 인한 북미(-16%)에서의 예상 감소분을 충분히 상쇄했다.
올리버 블루메 폭스바겐그룹 최고경영자(CEO)는 “폭스바겐그룹은 신제품의 성공에 힘입어, 매우 어려운 환경 속에서도 굳건히 자리를 지켰다. 디자인, 기술, 품질 측면에서 눈에 띄는 개선을 이루었고, 소프트웨어 분야에서도 상당한 진전을 이뤘다. 경쟁이 치열한 글로벌 시장에서 그룹의 판매 실적은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있다”고 언급했다.
이어 “유럽에서는 전기 이동성 분야에서 28%의 시장점유율을 기록하며 선도적 위치를 더욱 강화했고, 주문량도 여전히 견고한 상황이다. 지속적인 제품 공격과 안정적인 수요에 힘입어 하반기에도 긍정적인 추세가 이어질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영업이익의 감소는 주로 미국 수입 관세 인상에 따른 비용(13억 유로) 및 아우디와 폭스바겐 승용차, 카리아드의 구조조정 충당금(7억 유로), 그리고 이산화탄소 규제 관련 비용에 기인한다. 전기차 비중 증가와 가격 및 환율 효과 등의 부정적 혼합 효과도 영향을 미쳤다. 미국 관세 인상과 구조조정 영향 제외 시 영업이익률은 5.6%다.
아르노안틀리츠
폭스바겐그룹 CFO 겸 COO
아르노 안틀리츠 폭스바겐그룹 최고재무책임자(CFO) 겸 최고운영책임자(COO)는 “상반기 실적은 양면적인 모습을 보여준다. 강력한 제품 성공을 거두고 회사 재편에 진전을 이뤘다. 반면,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3분의 1이 감소했는데, 이는 저마진 전기차 모델의 판매 증가에 따른 것이다. 또한 미국의 수입 관세 인상과 구조조정 조치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설명했다.
이어 “이러한 요소를 제외하면 2분기 영업이익률은 7%에 육박하며 예상 범위 상단에 위치한다. 이는 그룹이 올바른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음을 보여준다. 하지만 결국 중요한 것은 실질적인 현금 확보다. 이것이 바로 그룹이 수익 개선을 위해 진행 중인 프로그램을 계속 추진하고, 필요한 경우 속도를 높여야 하는 이유다.”라고 덧붙였다.
영업실적 변동 외에도 순현금흐름 감소의 주요 원인은 M&A 지출이었다. 여기에는 리비안 지분 추가 취득을 위한 9억 유로가 포함됐다. 구조조정 조치와 미국 수입 관세 관련 비용도 영향을 미쳤다. 반면 운전자본에 묶인 현금 수준이 전년 동기 대비 감소한 것은 긍정적으로 작용했다.
서유럽 지역 주문량이 지난해 동기 대비 큰 폭으로 증가했다. 모든 구동계에 걸친 신모델인 폭스바겐 ID.7 투어러, 쿠프라 테라마, 스코다 엘로크, 아우디 Q6 e-트론, 포르쉐 911 등이 이를 주도했다. 특히 순수 전기차 주문량이 강세를 보이며 62% 증가해 하반기 전망을 밝게 했다.
김태진 에디터 tj.kim@carguy.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