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조선

'개인정보보호 강조' LG유플러스, '보안퍼스트 전략' 공개 "5년간 7000억원 투자"

기사입력 2025-07-29 17:22


'개인정보보호 강조' LG유플러스, '보안퍼스트 전략' 공개 "5년간 7…

LG유플러스가 29일 3대 보안 체계와 보이스피싱·스미싱 예방 풀패키지를 중심으로 한 보안퍼스트 전략을 공개했다. 보이스피싱 피해 예방에 진심인 통신사가 되겠다는 비전도 제시했다.

LG유플러스에 따르면 지난 2023년 7월 CEO 직속 보안전담조직 정보보안센터를 신설한 이후 보안 거버넌스, 보안 예방, 보안 대응 등 3대 축을 중심으로 보안 체계를 강화하고 있다.

보안 거버넌스는 사내 보안 전담조직인 정보보안센터를 중심으로 완성 단계에 있다. 정보보안센터는 독립적 위치에서 전사 정보보호를 총괄하며, 홍관희 센터장은 경영위원으로서 보안을 포함한 사내 주요 의사 결정 과정에 참여하고 있다.

보안 컨트롤타워 역할을 충실히 이행하기 위한 투자와 인력도 지속적으로 확대중이다. LG유플러스는 KISA 정보보호공시 기준 2024년 정보보호분야에 약 828억원을 투자했다. 2023년 대비 31.1% 증가한 것으로, 올해도 30% 이상 투자를 확대할 계획이다. LG유플러스는 향후 5년 동안 약 7000억원의 투자를 단행할 것으로 예상된다. LG유플러스의 2024년 정보보호 전담인력은 292.9명으로 2023년 157.5명과 비교해 86.0% 대폭 증가했다.

보안 예방은 해킹 등 내부 정보를 겨냥한 사이버 위협에 대비하기 위한 작업이다. LG유플러스는 내부 체계를 자체 점검하는 것에 이어, 지난해 11월부터 진행 중인 역대 최장기간 블랙박스 모의해킹을 진행하고 있다. 블랙박스 모의해킹은 외부 화이트해커 집단에게 자사 모든 서비스에 대한 해킹을 의뢰해 잠재된 취약점을 발굴하는 방식이다. 어떠한 사전 정보도 공유하지 않은 채 외부 전문가에 의해 실전처럼 보안성을 확인한다.

LG유플러스는 모의해킹을 내년 상반기까지 연장하기로 하는 등 지속적으로 취약점 탐색에 나설 계획이다.

LG유플러스는 '보안 대응'을 고도화하기 위해 AI기반 관제 체계도 강화하고 있다. 2027년까지 LG유플러스에 특화된 제로 트러스트(Zero Trust, 모든 접근을 신뢰하지 않고 항상 검증을 수행하는 보안) 모델을 구축한다.

LG유플러스는 SaaS(Software as a Service, 소프트웨어 기반 서비스), 개방형 클라우드 등을 활발히 사용하는 업무 환경에 맞춰 '구축-확산-안정화'로 이어지는 단계별 제로 트러스트 로드맵을 마련하고, 인프라를 구축하고 있다. 2027년까지 AI를 통해 비정상적 접근 통제와 이상 행위 탐지 조치를 전면 자동화해, 선제적 보안 체계를 확보하며 차세대 제로 트러스트 아키텍처를 완성해 나갈 계획이다.


홍관희 LG유플러스 정보보안센터장(CISO/CPO, 전무)은 "LG유플러스는 국내 기업 중 어느 곳보다도 빠르게 보안의 중요성을 실감하면서, 계획에 따라 체계적으로 보안 수준을 높여 왔다"며 "전략적 투자로 빈틈없는 보안을 실현하고, 고객이 체감할 수 있는 보안을 제공하는 통신사로 나아갈 것"이라고 말했다.


김세형 기자 fax123@sportschosun.com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