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포츠조선 장종호 기자] 우리나라는 물론 외국에서도 65세 이상 어르신들은 치매를 가장 두려운 질환으로 여긴다. 치매는 자기 자신은 물론 가족 모두에게도 큰 영향을 주고, 기억력과 판단력이 점점 사라진다. 알츠하이머 치매가 전체 치매의 약 60~70%를 차지하며, 뇌의 기억과 사고를 담당하는 신경세포가 서서히 손상되면서 기능을 잃어간다.
치매 전조증상은 주로 △기억력·주의력 변화 △일상 행동 패턴의 이상 △사회적·정서적 변화로 드러난다. 정상 노화는 어떤 사실이나 이름을 잠시 잊더라도 힌트를 주면 기억해내는 반면, 치매 전조증상은 최근에 있었던 일을 완전히 잊고 힌트가 있어도 전혀 기억하지 못한다. 아주 흔한 단어조차 반복적으로 떠올리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일상생활 능력에서도 큰 차이가 난다. 정상 노화 과정에서는 가끔 깜빡하고 집안일에서 실수를 하지만 혼자서 생활하는데에는 큰 지장이 없다. 그러나 치매 전조증상이 있는 경우에는 요리하다가 불을 끄는 것을 잊어 사고 위험이 커지고, 물건 값 계산 등 기본적인 일을 스스로 처리하기 어렵다.
세란병원 신경과 윤승재 과장은 "알츠하이머 환자의 뇌에는 베타 아밀로이드라는 이상 단백질 찌꺼기가 쌓이고, 신경세포간의 연결이 끊어지며 이로 인해 기억력과 인지 기능이 떨어지게 된다"며 "초기에는 최근 일이나 약속을 잊고, 길을 잃거나 가사일이 어려워져 가족의 도움이 점차 필요해진다"고 설명했다.
윤승재 과장은 "치매는 조기에 발견할수록 치료와 관리 효과가 크다. 아밀로이드 PET-CT 검사를 시행하면 치매가 뇌 구조적으로 드러나기 전, 대사 이상을 통해 조기 발견을 가능하게 하고 치매 유형까지 구별하는데 도움이 된다"며 "노화는 속도 느려짐에 가깝고, 치매는 '기능 자체가 무너짐'으로 구분할 수 있으므로 치매 전조증상이 의심된다면 신경과 전문의를 찾아 진단받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장종호 기자 bellho@sportschosun.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