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포츠조선 장종호 기자] 우리 몸에서 가장 큰 관절인 무릎은 체중을 직접 지탱하고, 보행과 같은 기본 동작을 담당한다. 그러나 노화, 과체중, 반복적인 외상 등 다양한 요인으로 관절을 보호하는 연골이 점차 손상되고 만성 염증이 발생하면서 무릎 관절염으로 이어질 수 있다. 무릎 관절염은 대표적인 퇴행성 관절 질환으로, 중장년층에서 가장 흔하며 최근 고령화로 인해 환자 수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가톨릭대학교 인천성모병원 정형외과 허준영 교수는 "무릎 관절염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진적으로 악화되는 질환이므로 조기에 발견해 적절한 치료를 시작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특히 초기에 증상을 방치하지 않고 적극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장기적인 관절 기능 보전의 핵심"이라고 강조했다.
진단은 주로 X-ray로 관절 간격 및 골 변형 정도를 평가한다. 필요에 따라 MRI, 관절경, 핵의학 검사 등을 통해 정밀하게 진단한다.
진행기(3~4기)에는 보존적 치료만으로는 한계가 있어 수술적 치료가 필요하다. 국소적 손상일 경우 관절경 수술이나 교정 절골술을 통해 관절 하중을 분산시키고, 관절 전체 손상이 심한 경우에는 인공관절 치환술이 필요하다. 최근에는 수술 기법과 인공관절 재질의 발전으로 회복 속도가 빨라지고, 인공관절의 수명도 20년 이상으로 연장돼 환자 만족도가 높아지고 있다.
허준영 교수는 "무릎 인공관절치환술은 환자의 하지 정렬, 관절 손상 정도, 연령과 활동 수준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최적의 절삭 범위와 삽입물 위치를 결정한다"며 "맞춤형 수술은 개별 환자의 해부학적 특성을 반영해 수술 후 통증 감소, 빠른 기능 회복, 인공관절의 장기적 안정성까지 기대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무릎 관절염 관리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평생에 걸친 자기 관리다. 적절한 체중을 유지하고, 쪼그려 앉기, 무거운 물건 들기, 장시간 운전 등 무릎에 부담을 주는 생활습관을 피하는 것이 필요하다. 운동은 필수지만 과격한 등산, 장거리 조깅, 격한 구기 종목은 삼가고, 걷기, 실내 자전거, 수영, 아쿠아로빅 같은 저충격 운동을 꾸준히 실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집에서도 무릎 펴기, 다리 들어올리기 같은 간단한 근력 운동을 습관화하면 도움이 된다.
허준영 교수는 "무릎 관절염은 누구나 겪을 수 있는 흔한 질환이지만, 조기 진단과 치료, 생활습관 관리로 진행을 늦추고 증상을 조절할 수 있다"며 "환자 스스로가 질환을 두려워하기보다 올바른 자기 관리 습관을 갖는 것이 가장 확실한 예방법"이라고 조언했다.
장종호 기자 bellho@sportschosun.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