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을바람에 심장이 깜짝?…환절기 '심근경색' 환자 급증

기사입력 2025-10-21 17:30


가을바람에 심장이 깜짝?…환절기 '심근경색' 환자 급증
자료사진 출처=픽사베이

[스포츠조선 장종호 기자] 아침저녁으로 바람이 선선해지며 본격적인 가을이 다가오고 있다. 하지만 기온 변화가 큰 이 시기, 우리 몸의 혈관은 급격히 수축하며 심장에 큰 부담을 준다. 특히 심장혈관이 막히는 '심근경색'은 환절기에 급증해 겨울철에 가장 많이 발생한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자료에 따르면 국내 심근경색증 환자는 2020년 12만 2231명에서 2024년 14만 3310명으로 4년 새 약 17% 증가했다. 심근경색은 관상동맥의 협착으로 심장 근육에 혈액 공급이 거의 혹은 완전히 막혀서 심장근육이 괴사되는 질환이다.

수원나누리병원 심장내과 권성진 부장은 "특히, 급성 심근경색은 치료가 지연될수록 생명에 위협이 될 수 있어 조기 대응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심근경색의 대표적인 초기 증상은 10분 이상 지속되는 극심한 가슴 통증이다. 가슴이 짓눌리거나 조여오는 느낌과 함께 숨이 차고, 소화불량이나 명치 통증, 목이 졸리는 듯한 불쾌감이 동반될 수 있다. 새벽이나 이른 아침, 특히 찬바람을 맞은 뒤 통증이 나타난다면 가볍게 넘기지 말고 주의해야 한다.

권성진 부장은 "기온 변화는 혈관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기 때문에 환절기에는 찬 공기를 막을 수 있는 겉옷을 챙기는게 좋다"며 "평소와 다른 불쾌한 흉통이 느껴지면 심전도나 심장초음파 등 정기적인 검진으로 정확한 진단을 받는 것이 중요하다"고 조언했다.

심근경색증은 예고 없이 찾아오지만, 생활습관 관리로 충분히 예방할 수 있다. 꾸준한 운동, 금연, 저염식, 기름진 음식 섭취 제한 등이 예방에 도움된다. 특히, 가족력이 있거나 고혈압·당뇨·고지혈증 등 만성질환이 있다면 위험요인으로 증상이 의심될 경우 방치하지 말고 조기 치료를 받는게 무엇보다 중요하다.
장종호 기자 bellho@sportschosun.com


가을바람에 심장이 깜짝?…환절기 '심근경색' 환자 급증
권성진 부장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