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소리축제 부장 '기본급 폭등' 여파…"위원장이 위증"(종합)

기사입력 2025-11-18 17:04

[전북특별자치도 의회 인터넷 방송 캡처. 재판매 및 DB 금지]
[연합뉴스 자료사진]
"모든 책임 직원들에게 전가하고 우롱"…녹취 파일 재생 무산

A 부장, 도지사 측근 '특혜 의혹' 확산…김관영 "엄중 징계 통보"

(전주=연합뉴스) 임채두 기자 = 전북특별자치도의회 행정사무감사에서 지적된 '전주세계소리축제 부장 기본급 48.6% 인상'의 여파가 연일 이어지고 있다.

기본급 48.6%가 오른 A 부장은 김관영 도지사 선거 캠프 출신으로 전북도 5급 임기제로도 근무한 경력이 있어 '측근 특혜 논란'으로 번지는 모양새다.

18일 전북도의회 문화안전소방위원회의 소리축제 대상 행정사무감사에서는 전날에 이어 A 부장의 기본급 폭등을 둘러싼 증언이 나왔다.

소리축제 조직위원회 전 행정팀장 B씨는 이날 행감장에 증인으로 출석해 김희선 소리축제 집행위원장의 발언을 지적했다.

B씨는 "어제 김 위원장의 답변에 심각한 위증이 있었다"며 "그는 행정 사안에 관여하지 않고 약식 보고만 받아 법적 책임보다는 도의적 책임에 통감하고 죄송하다고 했다. 모든 책임을 직원들에게 전가하고 여기 있는 의원들을 우롱했다"고 직격했다.

전날 김 위원장이 행감장에서 "A 부장의 기본급 인상에 대해 차에서 보고받았고, 통상적인 결재로 이해했다"며 "전북도와 협의가 끝난 내용으로 전달받아서 큰 문제가 없을 것으로 생각했다"고 한 발언이 사실과 다르다는 주장이다.

B씨는 자신의 주장을 뒷받침할 증거인 통화 녹취 파일을 행감장에서 재생하고자 했으나 김 위원장의 반대로 무산됐다.

B씨는 "김 위원장은 마치 행정팀장이었던 저와 A 부장의 짬짜미로 치부, '나는 모른다'는 식으로 답변했는데, 과연 이것이 제삼자의 관망인지 조직위 최상위 권력자의 철저한 계획에 의한 것인지 (녹취 파일로) 증명하고자 했다"고 말했다.

A 부장의 기본급 인상이 사실상 김 위원장의 묵인 혹은 지시 아래 이뤄졌다는 반박으로 풀이된다.

전북도 감사위원회가 공개한 전주세계소리축제 조직위원회 감사 결과 처분 요구서에 따르면 A 부장의 올해 월 기본급은 전년 대비 48.6% 인상된 500만원으로 결정됐다.

A 부장을 제외한 모든 직원의 기본급 인상률은 3%에 그쳤다.

조직위는 사무국 직원 연봉 조정(안)의 기준(기본급 3% 인상)을 무시한 채 신규 협찬사 유치 등을 사유로 들어 A 부장의 기본급을 대폭 인상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해 김 도지사는 이와 관련한 강력한 후속 대책을 주문했다.

그는 "독립기관인 도 감사위원회가 엄정하게 감사를 진행해 문제를 적발했고 엄중히 징계처분할 것을 조직위에 통보했다"며 "신속하고 단호하게 후속 조치가 진행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공정과 원칙을 흔드는 행위에 신속히 대응할 것"이라며 "효율적 제도 개선과 더불어 강력한 윤리 규율을 통해 도민의 기대에 부응하겠다"고 덧붙었다.

아울러 행감장에서는 소리축제 조직위 장기 근속자들이 조직을 떠나가는 문제도 지적됐다.

박정규(임실) 문화안전소방위원장은 "2023년에 6명, 2024년에 1명, 올해 6명 등 13명이 퇴사했다. 이유가 무엇이냐"고 물었다.

이에 김 위원장은 "퇴사자마다 이유가 다르다"며 "업무 과중, 직원들과 불화, 계약 만료 등이다"라고 답했다.

박 위원장은 "13년, 15년 근속한 부장급이 조직을 떠난다는 것은 심각한 문제"라며 "억울한 일을 당해서 퇴사한 사례는 없느냐"고 물었고 김 위원장은 "현재도 노동청에서 쟁의 중인 사례도 있어서 결과에 따라서 답할 수 있을 것 같다. 갈등과 어려움 속에서 사직한 분도 있었다"고 말했다.

조직위 전 행정팀원은 이날 오전 행감장에 나와 "우리 행정팀이 무엇을 얼마나 잘못했길래 지난 6월 그렇게 모진 말씀을 하셨는지 모르겠다"며 "행정팀원들에게 친절했던 위원장인데 무엇이 위원장을 그렇게 만들었는지 안타깝다"고 증언하기도 했다.

doo@yna.co.kr

<연합뉴스>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