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예산의 분야별 편성을 보면 이러한 기조가 뚜렷하게 드러난다. 내년도 일반회계 세출은 총 4,486억 원 규모로, 사회복지 분야가 967억 원(21.6%)으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이어 농업 845억 원(18.8%), 지역개발 401억 원(9.0%), 일반공공행정 365억 원(8.1%), 문화관광 260억 원(5.8%) 순이다. 고령화가 빠르게 진행되는 군의 특성을 고려해 복지 예산을 최우선으로 유지한 동시에, 지역경제 회복과 미래 성장동력 확보를 위한 투자에도 재원을 배분했다.
주요 사업으로 ▲기초연금 지원 364억 원 ▲기초생활수급 생계급여 80억 원 ▲농어민 공익수당 43억 원, 전 군민 버스 무료화 5억 원 등 복지 사업은 꾸준히 확대되고 있으며 ▲청년 하우징타운 조성 80억 원 ▲청년 농촌보금자리 조성 18억 원 등 청년 정주지원 사업도 예산이 크게 늘었다. 환경·안전 분야에서는 ▲삼기 공공하수처리장 신설 53억 원 ▲수리지구·석곡 염곡지구 하수관로 정비 50억 원, 송전지구 풍수해생활권 종합정비 22억 원 등이 반영됐다.
조상래 곡성군수는 "재정여건이 어려운 상황이지만 군민 생활과 직결된 분야는 결코 뒤로 미룰 수 없다"라며, "한정된 재원을 최대한 효율적으로 배분해 군민이 체감할 수 있는 변화를 만들겠다"라고 덧붙였다.
한편, 2026년도 본예산안은 군의회 심의를 거쳐 12월 16일 최종 확정될 예정이다.
(편집자주 : 이 보도자료는 연합뉴스 기사가 아니며 고객들의 편의를 위해 연합뉴스가 원문 그대로 서비스하는 것입니다. 연합뉴스 편집방향과는 무관함을 주지해 주시기 바랍니다)
<연합뉴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