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5일 통합체육회 출범을 위한 '반쪽' 발기인 대회는 대한체육회, 국민생활체육회, 문화체육관광부 모두에게 적잖은 상처를 남겼다. 통합의 법정시한인 3월 27일까지 40일도 채 남지 않았다. 상호간의 깊은 불신과 갈등을 신뢰와 화합으로 되돌려 놓을 수 있을까. 정관 초안, 국제올림픽위원회(IOC) 승인, 법정시한 등을 둘러싼 온도차는 여전하다. 체육단체 통합을 둘러싼 쟁점 4가지를 짚었다.
법정시한 3월 27일, 지킬 수 있을까
국민체육진흥법 개정안에 따르면 체육단체 통합의 법정시한은 3월 27일이다. 입법부가 만든 법을 정부는 집행해야 할 책임과 의무가 있다. 문체부가 통준위와 발기인대회을 '로드맵'대로 추진하는 근거다. 대한체육회는 "시간이 걸리더라도 꼼꼼히, 제대로 해야 한다"고 한다. 문체부는 "법을 지키려는 사람이 비난받고, 법을 어기는 사람이 오히려 옹호받는 상황"이라고 한다.
통합준비위원회는 일방적으로 진행됐나
문체부에 따르면 통합체육회 정관 초안은 지난 13일 정관전문위원회를 통해 확정됐다. "15차 통준위에서 정관 초안에 대한 최종 심의를 정관전문위에 위임하기로 위원들 전원이 동의했다"고 밝혔다. 13일 정관전문위원들이 모여 4일 대한체육회 통준위원들이 제출한 8개 조항을 심의했다. 이중 3개항이 조정됐다. 대한체육회는 "정관 초안은 확정되지 않았다. 통준위의 결정이 정부의 의도대로 이뤄졌다"고 주장한다.
문체부는 '일방적 추진'이라는 주장에 강하게 항변했다. "대한체육회가 참석하기 시작한 11월 8차 회의 이후 양 단체 위원들은 때로 5시간 넘게 격론을 벌였다. 회의가 끝날 때마다 합의 내용을 바탕으로 초록을 작성했다. 회의 시작 시 전회의의 초록 내용을 재확인하고 초록에 잘못된 내용이 있을 경우 수정해 다시 접수했다"고 했다. "회의 녹취 및 속기록 등 의견을 충분히 나눴음을 입증할 근거가 있다"고 했다. 발기인대회 일정(15일) 관련 위원들의 합의가 없었다는 지적에 대해서도 "15일 일정은 통준위 지원단의 보고사항이었다. 보고사항은 의결 대상이 아니다. 보고사항에 이의가 있을 경우, 현장에서 이의가 있다고 말하면 된다. 15일 일정을 바꾸자는 얘기가 없었다. 위원 전원이 15일 발기인대회, 정관 승인에 필요한 인감을 제출했다"고 해명했다.
대한체육회의 수장은 누구인가
양대 체육단체의 역사적 통합 과정에서 엘리트 체육의 수장인 김정행 대한체육회장은 좀처럼 목소리를 내지 않고 있다. 지난해 연말 기자회견은 물론, 최근 일련의 언론 인터뷰에 이기흥 대한체육회 통합추진위원장(대한수영연맹 회장)이 마이크를 잡았다. 반면 강영중 국민생활체육회장은 15일 '반쪽' 발기인대회 현장에 참석해, 목소리를 냈다. "오늘 분위기가 착잡하기 이를 데 없다. 양대 체육회가 정말 국민이 바라고 전체육인이 바라는 축복받는 통합이 됐으면 하는 바람인데 현실은 그렇지 못하다. 통합 당사자로서 안타까움을 이루 말할 수 없다"고 했다. "지난해 6월 통준위가 출범했는데 11월에 가서야 양대 체육회가 참가하게 됐다. 6개월 이상을 소비했다. 실기를 한 것같다. 그 부분이 가장 아쉽다"고도 했다.
대한체육회는 스스로 체육계의 '큰집'이라고 말한다. 통합을 주도적으로 이끌고 대한체육회, 엘리트 체육의 목소리를 대변해야 할 중요한 시점에 유독 '큰집' 대한체육회장의 목소리만 사라졌다. 리더십 부재에 대한 볼멘 소리가 흘러나온다. 문체부, 통준위, 심지어 체육회 내부에서도 '김 회장과 이 위원장의 뜻이 다른 것 아니냐' '침묵할 수밖에 없는 이유가 있는 것 아니냐'는 등 추측성 의혹들이 불거진다. IOC헌장이 말하는 스포츠와 정치의 분리, 자율성을 주장하면서, 체육회 스스로 정치권의 힘을 빌리고, 정치권에 휘둘리는 모습 역시 안타깝다. 공연히 발목을 잡고 밥그릇 싸움이나 하는 '천덕꾸러기'같은 인상도 피할 수 없다.
회장의 침묵속에 이 위원장이 부각되면서 체육회와 수장의 위상은 오히려 추락했다. 통준위도, 문체부도 이 위원장의 대표성을 인정하지 않는다. '이 위원장 개인 의견'으로 치부한다. 17일 이 위원장이 이끄는 대한수영연맹의 비리 혐의에 대한 검찰의 압수수색이 시작됐다. 김 회장은 2014년 국회, 정부 대표와 함께 체육단체 통합 합의서에 직접 도장을 찍은 당사자다. 지난해 국민체육진흥법 개정안 통과 현장도 직접 목도했다. 스포츠인답게 용기있는 행보와 끝까지 책임지는 모습이 필요하다.
전영지 기자 sky4us@sportschosun.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