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두리 첫 지도자 생활, 슈틸리케호에서 시작한다

기사입력 2016-10-27 21:17


차두리가 축구 국가대표팀 전력분석관으로 선임됐다.
27일 오후 서울 신문로 아산정책연구원 강당에서 차두리가 이용수 기술위원장이 참석한 가운데 전력분석관 선임 기자회견을 열었다. 차두리가 소감을 말하고 있다.
정재근 기자 cjg@sportschosun.com/2016.10.27/

차두리(36)가 돌아왔다.

A매치 76경기, 독일과 스코틀랜드 그리고 K리그까지 프로통산 327경기 출전. 선수 차두리가 걸어온 길이다. 그는 수많은 영광의 기억을 뒤로 한 채 지난해 은퇴했다.

아버지 차범근의 뒤를 이어 한국 축구의 전설로 각인된 차두리가 다시 돌아왔다. 선수는 아니다. 27일 울리 슈틸리케 감독이 이끄는 A대표팀의 전력분석관으로 선임됐다. 계약은 2018년 러시아월드컵 아시아지역 최종예선 마지막 경기까지다. 다음달 7일 대표팀 소집일부터 본격적으로 업무를 시작한다. 계약 연장 여부는 최종예선이 끝난 후 협의할 예정이다. "대표팀은 항상 선수 때부터 특별하고 소중한 곳이었다"고 운을 뗀 차두리는 "선수생활 그만두고 나서도 또 다시 내가 대표팀을 위해 뭔가를 할 수 있게끔 자리를 만들어주시고, 역할을 주신 이용수 기술위원장과 관계자들, 감독님께도 감사드린다. 내가 할 수 있는 모든 것을 쏟아내겠다"고 각오를 밝혔다.

지도자로 첫 발을 내딛은 차두리. 그는 은퇴 후 독일에서 지도자 연수를 하며 내공을 쌓아왔다. 전력분석관 직책을 부여받았지만 실질적으론 코치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인다. 이용수 기술위원장은 "솔직히 말해서 여러가지 코치로서의 일을 주문하고 싶은 게 내 생각"이라고 밝혔다.

차두리는 유럽축구연맹(UEFA) B급 라이센스를 갖고 있다. A대표팀 코치직은 A급 라이센스를 요한다. 그래서 차두리는 코치가 아닌 전력분석관 타이틀을 달 수 밖에 없었다. A급 라이센스 취득을 위해선 B라이센스 취득 후 2년 간 현장 지도 경험이 필요하다. 그러나 차두리는 이보다 빠른 시점에 자격을 취득할 것으로 예상된다. 대한축구협회 관계자는 "독일축구협회에 라이선스 스페셜 코스가 있다. 차두리는 이 과정을 통해 내년 2월 또는 4월 A급 라이선스를 얻을 수 있다"고 했다. 만약 차두리가 해당 기간에 A급 라이선스를 취득하면 A대표팀 정식 코치로 부임할 공산이 크다. 차두리는 "내년에 A급 따야 한다. 감독을 할진 모르지만 A자격증까지 딸 계획"이라며 "그 이후에 어떻게 될지는 지켜봐야 한다"고 했다.

차두리는 밝고 긍정적인 성격으로 유명하다. 선수 시절에도 분위기를 이끌며 소통의 중심축을 맡았다. '지도자' 차두리는 그 역할을 계속 이어갈 전망이다. 차두리는 "신태용 코치를 비롯해 경험 많은 분들이 많이 있다. 나는 그 외에 다른 부분에 대해 역할이 있지 않나 싶다"며 "선수들의 마음의 짐을 덜어주고 싶다. 지금 선수들이 조금 위축돼있다. 선수들의 자신감을 회복시키는 방향으로 생각한다"고 밝혔다.

차두리는 독일어도 유창해 독일 국적인 슈틸리케 감독과의 소통에도 큰 역할을 담당할 것으로 기대된다. 차두리는 "내가 선수들과 감독님 사이에서 팀이 원활하게 돌아가고 선수들이 마음 편하게 경기할 수 있도록 열심히 잘 준비하겠다"고 말했다.

사실 A대표팀은 위기다. 특히 이란과의 2018년 러시아월드컵 아시아지역 최종예선 4차전에서 0대1로 고배를 마시며 비판 여론이 거세졌다. 여기에 슈틸리케 감독의 선수 비교 발언 등이 나오며 풍파를 겪었다. 차두리는 소방수 역할을 자처했다. 차두리는 "대표팀은 항상 나에게 소중한 곳"이라며 "동생들도 대표팀에서 힘들어하는데 내가 도움될 수 있다면 상황이 어떻든, 일이 잘못돼서 비난을 받더라도 몸이 아닌 마음으로 최선을 다 하겠다"고 했다. 그러면서 "밖에서 일어나는 모든 일들에 선수들이 민감하게 신경쓰지 않길 바란다. 바깥 일은 귀를 닫고 팀에만 집중해 경기를 하길 바란다"는 당부의 말을 전했다.


슈틸리케호는 다음달 11일 오후 8시 천안종합운동장에서 캐나다와 평가전을 치른다. 차두리의 지도자 첫 무대다. 그는 "캐나다전부터 달라져 발전한 대표팀 모습을 보여드릴 수 있도록 최선 다 할 것"이라고 힘주어 말했다.


임정택 기자 lim1st@sportschosun.com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