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프리미어 12의 대회 운영은 너무나 미숙하다.
미국의 협조가 없이 독단적으로 밀어부친 대회이기 때문에 메이저리그 40인 로스터에 포함된 선수는 이번 대회에 참가할 수 없다.
급조된 대회였기 때문에 여러가지 해프닝이 일어났다. 대회가 열린 대만 티엔무 구장은 전광판에 불이 나, 경기 일정을 변경해야만 했다. 일본이 4강에 진출하자, 즉흥적으로 19일 4강전에 일본을 배정했다. 준결승을 치른 뒤 승리하면, 하루 휴식을 취할 수 있다는 이점을 노렸다. 물론 한국이 9회 극적인 역전승을 거두면서 일본의 꼼수는 산산조각이 났다.
하지만 미숙한 대회 운영과 달리, 한-일 양국의 시청률은 소위 '대박'이 났다.
대회 주관 중계사인 TV 아사히는 평균 시청률은 17.97%였다.
한국과의 개막전에서 19%를 찍었고, 베네수엘라전에서 20.2%의 시청률을 기록했다. 한국과의 4강전은 정확한 수치가 공개되지 않았지만, 20%가 넘었다고 한다. 게다가 4강전 승패가 극적으로 갈린 9회 순간시청률은 30%를 능가했다는 얘기도 들린다.
참고로 전국민적인 사랑을 받는 피겨스케이팅
아사다 마오의 경기 최고 시청률이 23.2% 정도였다. 한마디로 모든 경기가 기대 이상의 시청률을 올렸다.
프리미어 12를 독점 중계한 SBS도 마찬가지다.
SBS 관계자에 따르면 개막전에서 9.63%를 기록한 뒤 도미니카 공화국전(8.09%)→베네수엘라전(2.56%)→멕시코전(8.48%)을 거쳐 미국전에서 9%의 시청률을 회복했다. 그리고 8강전인 쿠바와의 경기는 11.67%의 두 자릿수 시청률을 기록했다.
19일 일본 도쿄돔에서 열린 일본과의 4강전은 13.16%를 기록하는 기염을 토했다. 보통 스포츠 중계의 경우 축구 A 매치가 15% 정도면 최고 수준의 시청률이다. 이 정도면 대단한 수치다.
2시간 정도 중계하는 축구에 비해 야구는 경기 시간이 4시간 정도로 2배 정도 길다. 때문에 평균 8% 정도면 매우 높은 시청률이다. 게다가 경기를 치를수록 수직상승하고 있다. 도쿄=류동혁 기자 sfryu@sportschosun.com
◇한-일 프리미어12 시청률 비교
한국
상대=방송일시=시청률
일본=11월8일=9.63%
도미니카=11월11일=8.09%
베네수엘라=11월12일=2.56%
멕시코=11월14일=8.48%
미국=11월15일=9%
쿠바(8강)=11월16일=11.67%
일본(4강)=11월19일=13.16%
일본
한국=11월8일=19.0%
멕시코=11월11일=16.4%
도미니카=11월12일=15.4%
미국=11월14일=18.2%
베네수엘라=11월15일=20.2%
푸에르토리코(8강)=11월16일=18.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