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몇 년간 FA시장에서 같은 상황이 반복되고 있다. 소속팀과의 우선협상기간이 끝난 뒤 속속 발표되는 고액 FA. 70억원, 80억원, 90억원 그리고 100억원 돌파설까지. 또 뒤를 잇는 무수한 이면계약 의혹. 해가 갈수록 그 정도는 심해진다. 수년전부터 노란색 경고를 넘어 적색 경고로 이어지고 있다.
폭탄돌리기의 말로가 조만간 끝날 수 있다고 지적하는 전문가도 있다. 9구단, 10구단이 생기면서 선수난이 가중, 몸값이 올랐지만 국내 프로야구가 감당할 수 있는 범위를 이미 벗어났다. 올해 합리적인 가격고민을 하는 팀들이 늘고 있다. 삼성은 박석민을 놓았다. 삼성이 돈싸움에서 밀린 것은 이례적이다. LG는 정우람의 희망액을 듣고는 일찌감치 영입의사가 없음을 전했다. KIA역시 손승락과의 협상을 일찍 접었다. 넥센도 유한준에게 50억원 이상을 무조건 확보해주는 구단 사상 최고액을 불렀으나 응답이 없자 그대로 철수했다.
이 모든 것은 자업자득이다. 탬퍼링(정해진 기간 이전에 미리 선수에게 접촉해 계약조건 등을 제시하고 영입의사를 밝히는 것) 의혹에서 자유로운 팀은 없다. 탬퍼링을 잘하는 구단일수록 수완이 좋은 팀으로 인정받는다. 선수들의 몸값을 키운 이도 구단, 더 키운 이도 구단, 이때문에 힘들다고 소리치는 이도 구단이다.
축소발표, 왜 문제인가
손승락은 롯데와 4년 60억원에 계약했다고 밝혔다. 이를 전해들은 KIA 관계자는 그냥 웃었다. KIA는 손승락의 요구조건을 파악하고 계약하지 않았다. 정우람의 84억원 한화행도 곧이 곧대로 받아들이기 힘든 상황에서 손승락의 발표액은 믿기 힘든 상황이다. 롯데는 손승락의 발표액에서 플러스 금액이 더 있느냐는 질문에 노코멘트로 일관하고 있다.
투자에 대한 결과는 향후 프런트 책임으로 이어진다. 축소발표가 책임회피에 도움이 될수 있을진 몰라도 눈가리고 아웅격이다. 초고액 계약 뒤 사회통념, 위화감 조성을 들먹이며 액수를 조정하는 일도 앞뒤가 맞지 않다. 소문은 불필요한 오해를 키울 뿐이다.
FA시장 거품 언제까지 커질까
일각에선 어쩔수 없는 시장논리라고 말한다. 비상식이지만 선수난은 가중되고, 우승을 하고싶어하는 팀들은 늘 있다. 여기에 모기업 오너의 의지가 투영되면 사실 수십억원은 큰 돈이 아니다. 극소수 선수들이 이와중에 큰 덕을 보게 된다.
현 시점에서 외국인선수 보유한도를 늘려야한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FA광풍을 잠재울 수 있는 대안으로 설득력을 얻고 있다. 하지만 아마추어 저변확대 등을 이유로 선수협이 반대하고 있다. 외국인선수의 몸값도 최근들어 껑충뛰고 있다. 구단들의 경쟁이 용병시장까지 확대된다면 또 다른 비용증가를 야기시킬 수 있다.
연승중일 때는 팀내부의 나쁜 얘기는 수면 아래로 가라앉는다. 하지만 성적이 떨어지면 온갖 말이 다 나온다. 프로야구도 마찬가지다. 비용증가를 감당하지 못하는 팀이 하나둘 늘어나면 거품은 일순간에 빠질 수 있다. 야구단은 돈을 벌기보다 쓰는 구조다. 모기업이 없는 넥센은 벌써부터 FA시장의 가장 큰 피해자가 되고 있다. 10개구단 중 한두개 구단만 휘청거려도 카르텔은 붕괴될 수 밖에 없다.
달라는 대로 주겠다는 것을 마다할 이는 없다. 선수들이 걱정할 일은 아니지만 구단들은 걱정해야 한다. 여름에 겨울 이야기를 해봐야 아무 소용없다. 차디찬 겨울이 와야 손발이 시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2년이 될지 3년이 될지 5년이 될지 모르지만 거품은 터질때까지 계속 부풀어 오를 전망이다.
박재호 기자 jhpark@sportschosun.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