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 10년간 한국 유소년 야구는 등록 선수와 팀 수가 늘어나는 양적 성장을 해온 것으로 드러났다. 그렇지만 초등학생 야구선수들의 신체 조건(평균 신장과 체중)이 감소해 미래에 대한 불안감을 주었다. 또 야구 선수들의 부상 위험은 투수가, 부위로는 팔꿈치가 가장 높았다.
대한체육회에 등록된 야구 선수는 10년 사이에 66.1% 증가했다. 2006년 6406명에서 2015년 1만604명으로 4000명 이상 늘었다. 선수 자원이 아직 만족할 수준은 아니지만 증가세는 긍정적인 신호라고 볼 수 있다. 그중 리틀리그 선수가 가장 큰 폭(732%)으로 치솟았다. 덩달아 아마추어 팀수도 60%(282개→455개) 늘었다. 리틀 리그 팀수는 무려 722% 증폭했다.
초등학교 선수의 경우 전남(26.7%)이 가장 크게 증가한 반면, 울산(-36.4%) 제주(-23.8%) 강원(-22.5%) 인천(-18.9%) 순으로 감소했다. 중학교 선수는 경남(178.2%), 고등학교 선수는 경기(108.6%), 대학교 선수는 인천(96.7%)에서 가장 많이 늘었다.
|
신체조건의 경우 과거 보다 평균치가 더 나빠진 것으로 나타났다. 초등학교 야구 선수의 평균 신장은 10.6%(2006년 165.9㎝→ 2015년148.3㎝) 감소했다. 지역별로는 대전 지역 선수들의 평균 신장이 8.4% 줄었다.
또 초등학교 야구선수들의 평균 체중도 28.4%(62.3㎏→44.6㎏) 떨어졌다. 대구 지역 선수들이 2.17%로 가장 큰 폭의 감소율을 보였다. 혈액형별로 분석한 결과, 야구선수들의 혈액형은 A형이 가장 많았다.
투수 부상 위험 가장 높다
지난 4년간 서울 한 병원을 방문한 야구 선수 1943명의 진료 이력을 분석한 결과, 부상이 가장 많이 일어나는 포지션은 투수이며, 그 비율은 45.0%였다. 반면에 손상이 가장 적게 일어난 포지션은 포수였다. 초중고대학프로 및 실업은 투수의 부상 비율이 가장 높았다. 리틀 그룹은 내야수의 부상이 가장 많았다. 리틀,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대학교는 포수가 다치는 비율이 가장 낮은 반면 프로 및 실업은 외야수의 부상 비율이 가장 낮았다.
부위별 부상 비율에선 팔꿈치가 가장 높았고, 그 다음으로는 어깨, 무릎, 발과 발목, 그리고 허리의 순이었다.
부상시 수술을 선택하는 비중은 낮았다. 전체 부상 중 수술 치료가 차지하는 비중은 15.0%였고, 비수술적 치료 비중은 85.0%였다. 수술 치료에서는 팔꿈치가 가장 높은 비율을 보였고, 그 다음으로 어깨와 무릎 순으로 높았다. 전체 수술 중 포지션별로 수술이 차지하는 비율은 투수, 내야수, 외야수, 그리고 포수 순이었다. 전체 수술 중에 투수 53.4%, 내야수 25.3%, 외야수 11.1% 그리고 포수 10.3%였다. 조사팀은 이번 보고서에서 '야구선수의 손상은 대부분 과사용과 관련이 돼 있다. 과사용 방지를 위한 제도적인 지원이 요구된다'고 결론을 냈다.
투구 팔의 비율을 따져본 결과, 우투구가 좌투구 보다 약 8배 정도 많았다. 이 비율은 지난 10년 동안 큰 변화가 없이 일정하게 유지됐다. 타격 비율은 우타가 좌타에 비해 약 2~4배 정도 높았다. 대학 선수들은 좌타 비율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포지션별로 따졌을 때 초등학교 선수들은 10년전에 비해 투수(26.8%→14.6%)의 비율은 줄고 야수가 증가했다. 좌투수는 20.9% 증가했고, 우투수는 4.5% 감소했다.
노주환 기자 nogoon@sportschosun.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