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조선

[핫포커스]30개 넘기면 홈런왕…5년 전보다 48% 급감, 야구의 꽃 '홈런' 왜 갑자기 줄었나

민창기 기자

기사입력 2023-10-18 18:14 | 최종수정 2023-10-19 12:15


[핫포커스]30개 넘기면 홈런왕…5년 전보다 48% 급감, 야구의 꽃 '…
7월 1일 대구 삼성전. 노시환이 5회초 무사 1,2루에서 3점 홈런을 터트리고 있다. 노시환은 아시안게임 대표로 나서면서 13경기에 출전하지 못했지만, 31개를 기록하고 홈런왕에 올랐다. 허상욱 기자 wook@sportschosun.com

[핫포커스]30개 넘기면 홈런왕…5년 전보다 48% 급감, 야구의 꽃 '…
노시환의 호쾌한 스윙. 최문영 기자deer@sportschosun.com

[핫포커스]30개 넘기면 홈런왕…5년 전보다 48% 급감, 야구의 꽃 '…
SSG 홈런타자 최정의 타격 모습. 박재만 기자pjm@sportschosun.com

[핫포커스]30개 넘기면 홈런왕…5년 전보다 48% 급감, 야구의 꽃 '…
2020년 47홈런을 기록한 로하스 주니어. 허상욱 기자 wook@sportschosun.com

항저우아시안게임 대표팀 소집 기간에 열린 13경기를 뺀 131경기 전 게임에 출전해 31홈런을 때렸다. 한화 이글스 내야수 노시환(23)은 장종훈(대표팀 타격코치) 이승엽(두산 베어스 감독)에 이어 23세 이하 나이에 홈런왕에 오른 세 번째 선수다. 젊은 오른손 '거포' 실종을 걱정했는데, 2000년 12월 생 노시환이 '깜짝선물'처럼 등장했다. 장종훈이 1990년 22세에 28개, 이승엽이 1997년 21세에 32개를 치고 1위를 했다.

20대 초반 젊은 홈런타자 탄생. 의미있는 수확이다. 동시에 최근 감소하고 있는 홈런 경향을 보여주는 수치다. 노시환은 2012년 박병호(KT)가 31개를 치고 홈런왕에 오른 이후 가장 적은 홈런으로 타이틀 홀더가 됐다.

올해 30홈런 타자는 노시환이 유일했다. 세 차례 1위를 한 베테랑 최정(36·SSG)이 노시환과 경쟁하다가 부상과 컨디션 난조로 정상가동을 못했다. 지난 시즌에는 박병호가 35개를 치고 타이틀을 차지했는데, 그 역시 유일한 30홈런 타자였다. 2년 연속으로 30홈런 타자가 1명에 그쳤다.

30개대 홈런왕이 3년 연속으로 나온 건 2011~2013년 이후 10년 만이다. 2011년 최형우(KIA)가 30개, 2012~2013년 박병호가 차례로 31, 37개를 치고 1위를 했다. 3시즌 동안 30개를 넘긴 타자가 최형우 박병호 두명뿐이었다.

그런데 2011~2012년은 팀 당 133경기, 2013년은 팀 당 128경기를 했다. 지금보다 경기수가 10경기 넘게 적었다. 10구단 KT가 합류한 2015년부터 KBO리그는 팀 당 144경기를 치르고 있다.

2021년엔 최정이 35개를 치고 1위를 했는데, 나성범, 애런 알테어, 양의지(이상 NC) 한유섬(SK)이 30개를 넘었다.


[핫포커스]30개 넘기면 홈런왕…5년 전보다 48% 급감, 야구의 꽃 '…
나성범은 NC 소속으로 2020년 34홈런, 2021년 33홈런을 때렸다. 최문영 기자 deer@sportschosun.com

[핫포커스]30개 넘기면 홈런왕…5년 전보다 48% 급감, 야구의 꽃 '…
두산 김재화는 2018년 44홈런을 터트리고 홈런왕 타이틀을 차지했다. 허상욱 기자 wook@sportschosun.com
최근 몇 년간 홈런이 지속적으로 줄었다.

5년 전인 2018년에 '31홈런'을 기록했다면, 이 부문 10위에도 못 든다. 그해 김재환(두산) 제이미 로맥(SK) 박병호 로하스 주니어(KT) 한동민(SK)이 40개를 넘었다. 공동 9위 전준우(롯데), 다린 러프(삼성)가 33개를 때렸다.


선수 개인뿐만 아니라 리그 전체 홈런이 줄었다. 올해 페넌트레이스 720경기에서 나온 홈런이 총 924개다. 지난 해 1085개에서 161개, 약 15%가 줄었다. 경기당 1.51개에서 1.28개로 줄었다. 리그 전체 홈런수가 1000개를 아래로 떨어진 건 10년 만이다.

2018년 1756개로 최고를 찍은 후 지속적으로 감소했다. 올해까지 4년 연속 떨어졌다. 올 시즌 리그 전체 홈런이 5년 전인 2018년의 52.6% 수준까지 내려갔다.

극심한 '타고투저'를 개선하기 위한 KBO리그 차원의 다양한 노력이 홈런 감소로 이어졌다. 스트라이크존을 확대해 투수 친화적인 분위기를 만들었다. 당연히 홈런뿐만 아니라 타율도 낮아졌다. 리그 평균 타율이 2018년 2할8푼6리였는데, 올해는 2할6푼3리를 기록했다.

젊은 거포 유망주들의 부진, 성장지체 영향도 크다. 홈런타자로 기대가 큰 한동희(롯데)는 올해 5개, 강백호(KT)는 8개, 이재원(LG)은 4개를 때렸다.


[핫포커스]30개 넘기면 홈런왕…5년 전보다 48% 급감, 야구의 꽃 '…
SK 주축타자로 활약한 로맥. 2018년 43홈런을 쳤다. 송정헌 기자 songs@sportschosun.com

[핫포커스]30개 넘기면 홈런왕…5년 전보다 48% 급감, 야구의 꽃 '…
박병호는 지난 시즌 35홈런을 터트리고 6번째 홈런왕에 올랐다. 그는 LG에서 히어로즈로 이적해 2012년 31개를 기록하고 첫 홈런왕이 됐다. 조병관 기자

[핫포커스]30개 넘기면 홈런왕…5년 전보다 48% 급감, 야구의 꽃 '…
최형우는 삼성 소속이던 2011년 30홈런을 치고 홈런왕이 됐다. 스포츠조선 DB
한 롯데 구단 관계자는 "한동희가 노시환과 비슷한 위치에 가 있어야 하는 안타깝다"고 했다. 노시환만 지난 해 저점을 통과해 다시 뛰어올랐다. 2021년 18개를 때린 노시환은 지난 해 6개에 그쳤다.

'거포형 유망주'가 성장하려면 꾸준한 경기 출전이 필요한데 빠르게 성과를 내지 못하면 기회를 잡기 어렵다. 팀 성적이 급한 코칭스태프 입장에선 당장 활용하기 좋은 컨택트형 타자를 찾게 된다.

오랫동안 홈런 레이스를 주도했던 외국인 타자들도 힘을 못 쓴다.

3년 전인 2020년, 30홈런 타자 10명 중 5명이 외국인 선수였다. 그해 로하스 주니어가 47개, 로맥이 38개를 치고 1~2위를 했다. 올해는 23개를 때린 오스틴 딘(LG)이 최고 순위에 올랐다. 채은성(한화)과 공동 3위를 했다.

외국인 파워히터 영입은 쉽지 않다. KBO리그에서 통할만한 파워있는 타자들에게 힌국프로야구는 첫 번째 선택지가 되기 어렵다. KBO리그보다 먼저 대우가 좋은 일본으로 눈을 돌린다.

한 구단 관계자는 "KBO리그에서 실패하면 구단이 보류권으로 묶어 타 팀 이적이 불가능하다. 외국인 선수들이 이런 규정이 없는 일본을 선호할 수밖에 한다"고 했다. 외국인 선수 연봉 상한선도 수준급 타자 영입을 가로막는다.


[핫포커스]30개 넘기면 홈런왕…5년 전보다 48% 급감, 야구의 꽃 '…
이승엽은 고졸 3년차였던 1997년, 21세에 32홈런을 터트리고 홈런왕에 올랐다. 스포츠조선 DB

[핫포커스]30개 넘기면 홈런왕…5년 전보다 48% 급감, 야구의 꽃 '…
1990년 22세에 홈런옹에 오른 장종훈. 그해 28홈런을 터트렸다. 스포츠조선 DB
현장에선 일발장타를 앞세우는 '거포형'보다 컨택트와 작전 수행능력이 좋은 자원을 원하는 경우가 늘었다. 거포형 타자에 비해 컨택트형 타자가 실패할 확률이 낮다. 모험보다 안전한 선택을 하게 된다.

정도 이상의 다득점 경기도 문제지만, 급격한 홈런 감소를 아쉬워하는 이들이 많다.

이순철 SBS 해설위원은 "스트라이크존을 넓힌 만큼 공인구의 반발계수를 조정해 홈런이 더 나왔으면 좋겠다. 홈런은 야구를 재미있게 만드는 주요 요소다"고 했다.


민창기 기자 huelva@sportschosun.com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