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포츠조선 김용 기자] 임찬규를 향한 LG의 원 제시안은 어느 정도였을까.
조금 잔인하게 얘기하면, 발표는 50억원이지만 임찬규가 부진하거나 팀 성적이 좋지 않을 경우 받는 돈이 최소 26억원까지 떨어질 수 있다는 것이다.
그래서 FA 자격을 얻은 선수들은 계약금과 보장액을 늘리는 데 집중한다. 대어급 선수들을 유혹하는 가장 중요한 액수다. 선수들은 총액도 총액이지만, 옵션이 적은 팀을 선호한다. FA '대박'을 치기까지 힘든 세월을 보냈는데, 지금부터라도 성적에 목 메지 않고 마음 편하게 야구하고 싶다는 의도다.
|
오히려 현명했다. 사실상 LG가 주는대로 받아야 하는 현실이었는데, 기술적으로 총액을 늘린 케이스다. 차명석 단장과 임찬규의 말을 종합해보면 대략의 그림이 그려진다.
LG가 총액 규모로는 약 40억원, 그리고 보장액은 30억원이나 그에 조금 못미치는 액수를 임찬규에게 제시했을 확률이 높다. 경쟁팀이 없는데 이정도만 해도, LG는 프랜차이즈스타에 대한 예우를 다했다고 볼 수 있다. 우승 프리미엄이 있었다.
하지만 임찬규가 모험을 선택했다. 보장액을 줄였다. 대신 인센티브를 늘려 총액을 늘리자고 제안했다. 무작정 돈을 더 달라고 하면 어떤 구단도 이를 들어주지 않는다. 하지만 임찬규 제안은 차 단장도 들어볼만 한 얘기였다.
|
그렇다면 옵션에는 어떤 내용이 담겨있을까. 개인 성적도 중요하겠지만, 팀 성적도 포함됐다. 차 단장은 "개인 성적만 포함시키면, 선수가 거기에만 몰두해 팀을 잊는 경우가 있다. LG의 모든 계약 옵션은 팀 성적이 포함돼있다. 그래야 팀이 강해질 수 있다는 게 내 철학"이라고 밝혔다. 승수가 아닌 이닝 기준일 수 있고 팀 성적 요건이 다를 수도 있겠지만 대략 시즌 10승, 팀의 포스트시즌 진출 정도가 임찬규의 '성공 열쇠'라고 보면 적당할 것 같다.
김용 기자 awesome@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