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스포츠조선 박상경 기자] '코리안 몬스터' 류현진(37)이 과연 2024시즌을 친정팀 한화 이글스에서 시작하게 될까.
|
류현진에겐 계약도 중요하지만, 어떤 조건을 받느냐도 무시할 수 없는 부분이다. 부상으로 자리를 비울 수밖에 없었던 토론토에서의 FA 후반기 상황은 만족스러울 수 없는 부분. 새 계약을 통해 미국 무대에서 유종의 미를 거두고자 하는 마음이 클 수밖에 없다. 하지만 그동안 쌓아온 커리어를 고려할 때 '헐값'에 미국에 남는 걸 감수하기는 쉽지 않다. 여러모로 어려운 조건인 셈.
|
한화는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고 인내심을 가지고 기다려왔다. 류현진을 위한 샐러리캡도 비워놨다.
류현진이 미국에서 새 팀을 찾지 못하고 국내 복귀를 택할 경우, 보류권을 쥔 한화가 우선 협상 대상이다. 류현진 역시 "KBO리그에 복귀하게 된다면 한화에 꼭 복귀할 것"이라며 친정팀에 대한 각별한 애정을 숨기지 않았다.
한화로선 류현진의 존재감과 경험이 꼭 필요한 시점.
한화는 수 년간의 리빌딩을 통해 문동주 김서현 황준서 등 재능 있는 젊은 투수들을 수집했다. 문동주가 올 시즌 이닝 제한 없는 1군 풀타임 선발 시즌을 앞둔 가운데 김서현 황준서도 성장하고 있다. 여기에 류현진까지 복귀한다면 한화는 외인 원투펀치에 토종 선발진까지 완벽하게 갖춰질 뿐만 아니라, 미래 자원의 성장도 촉진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게 된다.
내년부터 쓰게 될 대전 신구장 역시 류현진의 선수단 합류 시 시너지를 낼 수 있는 요인으로 꼽혀왔다. 여기에 한화가 KBO리그 샐러리캡 상한액(114억2638만원)에서 30억 남짓 여유를 갖고 있는 점도 호재다.
류현진의 한화행이 실현된다면 그 조건에도 관심이 쏠릴 수밖에 없다.
|
야구계에선 류현진이 한화로 돌아온다면 계약 규모는 역대 최고액을 훌쩍 넘을 것이 확실시 된다.
한화가 샐러리캡을 미리 조정해 놓은 데다, 프랜차이즈 스타이자 한국 야구를 대표하는 투수라는 상징성을 고려하더라도 최고 대우는 당연한 오퍼다.
한화 유니폼을 다시 입는 류현진의 모습을 볼 날이 머지 않았다.
박상경 기자 ppark@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