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조선

LG 13연속 위닝 저지할 찬스가 허무하게 날아갔다...사구 어필하더니, 왜 1초후 탄식을 내뱉었나

최종수정 2025-08-31 00:07

LG 13연속 위닝 저지할 찬스가 허무하게 날아갔다...사구 어필하더니,…
29일 잠실야구장에서 열린 키움과 LG의 경기, 5회초 2사 3루 키움 이주형이 1타점 적시타를 치고 기뻐하고 있다. 잠실=허상욱 기자wook@sportschosun.com/2025.08.29/

[스포츠조선 김용 기자] 이주형은 왜 1초 후 탄식을 내뱉었을까.

키움 히어로즈는 30일 잠실구장에서 열린 LG 트윈스전에서 5대6으로 석패했다. 전날 신인 정현우를 내세워 거함 LG를 격파한 상승세를 잇지 못했다.

최하위 팀이고, 승률 3할을 살짝 넘는다. 승리보다 패배 확률이 높은 팀이다. 더군다나 상대는 1위팀 LG. 질 수 있다. 그런데 마지막이 너무 아쉬웠다. 무슨 일이 있었던 걸까.

키움은 LG 선발 톨허스트에 막혀 6회까지 0-6으로 끌려갔다. 하지만 포기하지 않았다. 7회 톨허스트를 공략해 1점을 냈고, 톨허스트가 마운드를 내려간 8회 3점을 추격했다. LG는 8회 2사 1, 3루 위기서 마무리 유영찬을 조기 투입해 급한 불을 껐다.

하지만 유영찬이 9회 흔들렸다. 제구가 말을 듣지 않았다. 1사 후 전태현이 안타를 쳤다. 불안감 상승. 그리고 4타수 무안타로 침묵하던 송성문이 좌중간 2루타를 쳐 1사 2, 3루. 그리고 임지열의 희생플라이로 5-6 턱밑까지 추격했다. 그리고 2사 3루 찬스가 이어졌다. 주자가 들어오면 동점.

타석에는 이주형. 1B 상황서 유영찬의 공이 이주형쪽으로 갔다. 낮았다. 굴절된 공을 LG 포수 박동원이 잡지 못했다.


LG 13연속 위닝 저지할 찬스가 허무하게 날아갔다...사구 어필하더니,…
30일 잠실구장에서 열린 LG와 키움의 경기. 3회 무사 2, 3루. LG 오스틴이 1타점 적시타를 날렸다. 해 질 무렵 외야 뜬볼 타구를 아쉽게 놓친 키움 중견수 이주형. 잠실=송정헌 기자songs@sportschosun.com/2025.08.30/
이주형은 피하지 않았다. 오른발에 공이 맞고 굴절됐다. 순간 이주형은 발에 맞았다고 어필했다. 그리고는 3초 후 탄식을 내뱉었다.

순간 판단이 틀렸기 때문이다. 만약 이주형이 피했다면, 공이 뒤로 빠졌을 확률이 매우 높았다. 박동원이 도저히 잡을 수 없는 위치로 날아갔기 때문. 구종도 포크볼이었다. 땅에 박혀 튈 게 뻔했다. 그러면 동점이었다. 하지만 사구가 됐으니, 3루 주자는 움직일 수 없었다.


송성문은 혹시 몰라 일단 홈으로 들어왔다. 하지만 구심은 송성문의 3루 복귀를 단호히 지시했다. 그리고 경기는 주성원의 삼진으로 마무리 됐다. 동점이 됐다고 키움의 승리를 장담할 수는 없었지만, 그래도 승리 가능성을 다시 가져갈 수 있는 일이었으니 아쉬울 수밖에 없었다. 0-6경기를 6-6으로 만들면 그 분위기는 분명 키움쪽으로 유리하게 흘렀을 것이다. 만약 키움이 이겼다면 12연속 위닝시리즈를 달성한 LG의 13연속 위닝시리즈를 저지할 수 있었다. 물론 31일 3연전 마지막 경기를 이기면 되기는 하지만, 조기에 싹을 자를 수 있었는데 LG의 가능성을 살려줬다.

타자들이 사구에 대처하는 자세는 조금씩 다르다. 부상을 피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피하는 게 보통인데, 출루가 간절한 선수들은 오는 공을 피하지 않기도 한다. 이주형도 그런 차원이었을 것이다. 하지만 이번 상황은 피했어야 했다. '투혼'이 좋은 결과를 만들어내지 못한 사례였다.

이주형은 3회 무사 2, 3루 위기에서 오스틴의 외야 뜬공을 놓쳐 실점의 빌미를 제공하기도 했다. 오후 7시경 잠실 외야는 뜬공이 사라지는 경우가 많아 외야수들이 고생한다. 여러모로 이주형에게 운이 없는 날이었다.


김용 기자 awesome@sportschosun.com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