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포츠조선 김용 기자] 플레이오프 통과가 목표가 아니라면...
김경문 감독 역시 마찬가지다. 지난해 난파선이 돼가던 팀을 맡아 선수단 파악을 마쳤고, 올해 한화를 강팀으로 변모시켰다. 김 감독의 마지막 가을야구도 2017년이다. 모처럼 만에 치르는 포스트시즌 경기다.
|
정규시즌 우승을 차지했다면 더 없이 좋았겠지만, 2위도 좋은 기회다. 2위라고 우승하지 말라는 법은 없다. 가장 최근 2018년 SK 와이번스가 최강 전력이라던 두산 베어스 업셋에 성공했었다.
그러기 위해서는 전제 조건이 따른다. 플레이오프에서 체력 소모를 최소화 해야한다는 것. 다시 말해 시작부터 압도적인 경기력으로 셧아웃을 노려야 한다는 의미다. 최소한 3승1패로 올라가야 그나마 한국시리즈에서 LG 트윈스와 대등한 싸움을 기대해볼 수 있다.
|
LG는 투-타 전력 균형이 매우 좋은 강팀이다. 100% 컨디션으로 싸워도 승리를 장담할 수 없다. 그런 가운데 삼성과 5차전까지 혈투를 치르고, 선수들이 지친 가운데 올라가면 한국시리즈 중반부터 힘을 쓰지 못할 확률이 높다. 포스트시즌 경기는 선수들이 한 경기를 치르고 느끼는 피로도가, 정규시즌 경기의 몇 배라고 한다. 특히 매 경기 타이트하게 진행되는 분위기이기에, 필승조들이 쉴 새 없이 공을 던져야 하는 것도 걸리는 부분이다.
그렇기에 홈에서 열리는 1, 2차전이 매우 중요하다. 폰세를 필두로 가장 강한 선발 두 명으로 완전히 숨통을 끊어버리는 게 필수다. 특히 삼성은 1, 2차전 원태인과 후라도를 내지 못하기에 한화는 최소 1승1패가 아닌, 무조건 2승을 노리고 시리즈에 임해야 할 것이다.
플레이오프를 빨리 끝내고, 2~4일을 쉬고 한국시리즈에 나서면 오히려 경기 감각 측면에서는 올라가는 팀이 나을 수 있다. 선발 로테이션도 정상적으로 돌릴 수 있음은 물론이다.
김용 기자 awesome@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