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포츠조선 정현석 기자]단기전 투수 교체 타이밍. 가장 어려운 선택이다.
삼성은 18일 대전 한화생명볼파크에서 열린 한화 이글스와의 플레이오프 1차전에서 8대9로 패했다. 한화 에이스 폰세를 상대로 6이닝 동안 7안타로 6득점(5자책) 하며 공략에 성공했지만, 마운드가 버티지 못했다. 6-9로 밀리던 9회초 한화 마무리 김서현을 상대로 ⅓이닝 3안타 2득점, 8-9까지 추격하며 강판시켰지만, 마지막 동점타가 터지지 않으며 아쉬운 1점 차 패배를 당했다.
삼성 타선은 2회초 폰세를 상대로 3득점 하며 승기를 잡는 듯 했다. 하지만 2회말 한화 타선이 삼성 선발 가라비토의 판단 미스를 틈 타 이닝을 연장한 뒤 파상공세 속에 5득점 하며 곧바로 역전에 성공했다.
무려 폰세를 상대로 다시 가져온 리드. 무조건 지켜야 했다. 삼성 벤치가 발 빠르게 움직였다.
|
이승민이 문현빈에게 유격수 땅볼 타구를 유도했지만 뛰는 1루 주자를 잡기 위해 2루로 옮긴 유격수 이재현의 자리로 타구가 지나가는 행운의 안타로 1사 1,3루.
4번 노시환 타석에 삼성벤치는 아껴둔 양창섭 카드를 꺼냈다. 선발투수가 조기 강판하면 투입하려 아껴놨던 히든 카드. 가을야구 첫 등판에 살짝 긴장했던 양창섭은 노시환에게 불리한 볼카운트에서 강한 타구를 허용했지만 3루수 김영웅의 기민한 대처 속 병살타로 리드를 지킨 채 이닝을 마쳤다. 5회 양창섭은 채은성에게 선두타자 안타를 맞았지만 후속 세타자 모두 땅볼로 유도하고 무실점을 이어갔다.
|
하지만 심우준에게 1루수 옆을 스치는 2루타로 또 한번 선두타자 출루를 허용했다. 동점이 되기 쉬운 무사 2루 절체절명의 위기.
역전에 재역전으로 잡은 리드라 동점 허용은 무슨 수를 써서든 막아야 했다. 손아섭이 번트실패로 1B2S가 되자 벤치가 승부수를 띄웠다. 삼진을 잡을 수 있는 강력한 구위의 소유자 좌완 배찬승 투입이었다.
하지만 결과는 실패다. 배찬승의 구위가 준플레이오프 4차전 때와는 달랐다. 150㎞ 중반까지 찍히던 직구 구속이 2~3㎞ 정도 떨어졌다. 변화구 유인구도 효과적이지 않았다. 결국 배찬승은 손아섭에게 동점 적시 2루타와 리베라토에게 연속 안타로 무사 2,3루를 내줬고, 삼성 벤치는 불펜 에이스 이호성을 급히 투입했다. 이호성은 최고의 컨디션을 자랑하는 문현빈과 노시환을 연속 삼진 처리하며 기대감을 높였다. 하지만 채은성에게 변화구를 던지다 역전 2타점 적시타를 허용하고 말았다. 아쉽지만 어쩔 수 없었던 선택과 결과. 결국 삼성은 더 이상 전세를 뒤집지 못한 채 8대9로 패했다.
|
|
중계진은 양창섭의 늦은 교체를 문제 삼았고, 일부 팬들은 양창섭의 이른 교체에 아쉬움을 표했다.
중계진은 양창섭을 6회 시작부터 바꿨어야 한다는 주장. 심우준에게 2루타를 허용한 무사 2루라는 부담스러운 위기 상황 에 젊은 배찬승과 이호성을 투입한 것을 패인으로 봤다. 반면, 일부 팬들은 양창섭을 너무 일찍 바꿨다고 성토했다.
믿고 맡길 허리가 두툼하지 않은 벤치도 당연히 양창섭을 한 이닝 더 길게 끌고 가고 싶었다.
배찬승 이호성을 너무 일찍 써버리면 마무리 김재윤 앞을 책임져줄 투수가 없기 때문이다. 리드를 빼앗긴 이상 1차전부터 이 두 투수를 마냥 길게 끌고 갈 수도 없었다.
양창섭이 6회를 위기 없이 넘겼다면 7회 시작부터 이호성이나 배찬승을 올려 릴레이에 나설 수 있었다. 하지만 무사 2루라는 동점 허용 확률이 높은 최대 위기가 닥치자 벤치로선 어쩔 수 없이 불펜 최고 카드 둘을 조기투입할 수 밖에 없었다.
|
리그 최강 투수 폰세를 상대로 두번째 잡은 리드. 롱릴리프 양창섭의 6회 등판은 당연한 수순이었다. 동점 위기 속 한 박자 빠른 교체 역시 당연한 선택이었다.
정현석 기자 hschung@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