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포츠조선 정현석 기자]보고도 믿기지 않았던 가을의 이 장면. 삼성 라이온즈 '가을영웅' 김영웅의 연타석 스리런포로 삼성이 플레이오프 2승2패 균형을 맞춘 날.
|
삼성이 김영웅의 홈런쇼 속에 극적인 역전승을 거둔 22일 대구에서 열린 플레이오프 4차전 SBS TV 전국 시청률은 무려 8.7%. 이 승부 여파 속 24일 대전으로 옮겨 치러진 최종 5차전 MBC TV 전국 시청률은 마의 10%(전국 10.1%)를 넘었다.
프로야구 생중계 시청률이 10%을 넘은 건 최근 찾아보기 힘든 이례적 '사건'이다.
시청률은 방송시간의 평균 수치 기록인데, 오랜 시간 자리를 뜨지 않고 그 많은 사람들이 지켜봤다는 뜻이다.
|
|
올시즌 1231만명의 관중을 기록한 프로야구는 현실적 조건 하에 동원가능한 최다 관중을 야구장으로 불러모았다. 미국, 일본과 달리 3만석 구장이 없는 야구장 인프라의 수용능력을 감안하면 최대치다. 앞으로 현상유지나 오히려 줄어들 일만 남았다.
이 때문에 거대하게 폭발한 화산 같은 야구열기는 관중 수치 만으로 다 설명할 수 없다. 야구장에 응원을 오는 팬들은 그야말로 빙산의 일각이다.
야구장을 오고 싶은데 매크로 등 불법 싹쓸이 '티켓 전쟁'에 밀려 현장을 찾을 기회가 없는 팬들은 야구를 중계로 볼 수 밖에 없다. 그 수치가 갈수록 점점 더 늘고 있다.
중계사들도 신바람이 났다. 시청률은 곧 광고수익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시즌 중 이미 지상파 쿼터를 소진한 방송사들은 별도로 지불하는 중계비용과 비교할 수 없는 막대한 부가 수익을 중계를 통해 얻고 있다. 관심이 집중되는 단기전은 말할 필요가 없다.
|
|
영화관에서 개봉작 상영을 멈추고 대형 스크린에 야구 생중계를 띄우는 응원전 티켓을 파는 현실. 이제 야구는 단순한 스포츠 경기를 넘어 하나의 소비 문화로 자리매김 하고 있다.
이 같은 추세라면 유무선 중계권료 대폭 인상은 자연스러운 흐름이 될 전망.
당장 내년으로 3년 계약이 만료되는 온라인 중계권 갱신부터 큰 폭으로 인상된 계약이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정현석 기자 hschung@sportschosun.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