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굿바이 태후②] 황당설정·마구잡이PPL…태후는 웰메이드였나

기사입력 2016-04-15 08:46

class='news_content'>
class='news_text'>
class='article'>
border='0"
cellspacing='0"
cellpadding='0"
align='center'>
width='540"
border='0"
cellspacing='1"
cellpadding='1"
bgcolor='#CCCCCC"
vspace='5"
hspace='10"
align='center'> > src='https://www.sportschosun.com/article/html/2016/04/15/2016041601001204600085641.jpg'
alt='1"
width='540"
/> align='left"
bgcolor='#ffffff"
class='caption'>KBS2
'태양의
후예'
방송화면
캡처 class='d-none
d-xl-flex'> async
src='https://pagead2.googlesyndication.com/pagead/js/adsbygoogle.js?client=ca-pub-6314880445783562'
crossorigin='anonymous'> class='adsbygoogle'
style='display:inline-block;width:728px;height:90px;
margin:auto;'
data-ad-client='ca-pub-6314880445783562'
data-ad-slot='6712803571'> =
window.adsbygoogle
||
[]).push({}); class='mobile-ad'
style='
width:
100%;
height:
100px;
overflow:
hidden;margin:0
auto;text-align:
center;'> src='//img.mobon.net/js/common/HawkEyesMaker.js'>
new
HawkEyes({'type':'banner','responsive':'N','platform':'M','scriptCode':'954384','frameCode':'43','width':'320','height':'100','settings':{'cntsr':'4','mChk':'100'}});
[스포츠조선
배선영기자]'파리의
연인',
'온에어',
'시크릿가든',
'상속자들'
등의
히트
드라마로
한국
최고의
인기
작가로
꼽히는
김은숙
작가의
필모그래피에서
KBS2
'태양의
후예'는
최악의
작품으로
기록될
것으로
보인다.

class='mobile-ad'
style='width:210px;height:220px;float:right;margin:10px
0
10px
10px;display:flex;'> class='mobile-ad'
style='z-index:
9999;
position:
absolute;width:
200px;
height:
200px;'> isMobile3
=
window.matchMedia('only
screen
and
(max-width:
768px)').matches; if
(isMobile3)
{
document.write(' src=https://delivery.pryzmads.com/delivery/adjs?media_id=1&zone_id=5><\/script>'); }
'태양의
후예'는
14일
방송된
16회를
끝으로
종영했다.
이날
방송에서
유시진
대위(송중기)는
다시
죽음에서
살아
돌아와
연인,
강모연(송혜교)과
티격거렸다.
서대영(진구)과
윤명주(김지원)역시도
윤명주
아버지의
허락을
받고
해피엔딩을
맞았다.
시청자들이
그토록
염원하던
해피엔딩이지만,
드라마의
끝맛은
개운치
않다.


송혜교
송중기
톱스타
캐스팅,
두자릿수
시청률도
기록하기
힘든
요즘
9회
방송
이후
30%의
시청률을
넘고,
'별에서
그대'를
능가하는
화제의
한류
드라마
탄생이라는
반짝이는
기록을
자랑하는
'태양의
후예'는
그러나
모든
거품이
꺼진
뒤,
막장
드라마로
재평가
받을
것으로
보인다.
자극적
대사
외에
개연성,
리얼리티,
완성도
웰메이드
드라마와는
거리가
멀기
때문이다.

async
src='https://pagead2.googlesyndication.com/pagead/js/adsbygoogle.js'> class='mobile-ad'
style='width:
100%;height:
270px;margin:
auto;
text-align:center;'> isMobile2
=
window.matchMedia('only
screen
and
(max-width:
768px)').matches; if
(isMobile2)
{
document.write(' src=//ad.doorigo.co.kr/cgi-bin/PelicanC.dll?impr?pageid=0F6H&out=script><\/script>'); }
총에
맞고
심정지
상태에도
죽지
않아
불사신이라는
오명을
얻은
주인공
유시진이나
아무런
고뇌
없이
대출이
된다는
이유만으로
꽃바구니를
사들고
자신을
성추행
하려는
이사장을
찾아가는
강모연을
보고
있으면
오글거리는
대사를
주고
받으며
사랑을
키우는
외에
캐릭터
묘사에
대한
작가의
최소한의
노력이
없어
보여
아쉽다.
전체
극을
관통하는
주제
역시
전무하거니와
뜬금없는
사건사고들이
불쑥불쑥
끼어드는
것에
그치지
않는
전개
방식을
보고
있으면
작가가
아무런
사유
없이
대본을
것은
아닌가하는
의심을
지울
없게
만든다.
이처럼
개연성을
잃고
방황하는
스토리는
한반도를
들썩인
유행어
제조기일
정도의
입담을
자랑하는
유시진
캐릭터의
매력에도
불구하고
드라마의
가치를
떨어뜨린다.
.

border='0"
cellspacing='0"
cellpadding='0"
align='center'> width='540"
border='0"
cellspacing='1"
cellpadding='1"
bgcolor='#CCCCCC"
vspace='5"
hspace='10"
align='center'> > src='https://www.sportschosun.com/article/html/2016/04/15/2016041601001204600085642.jpg'
alt='2"
width='540"
/> align='left"
bgcolor='#ffffff"
class='caption'>KBS2
'태양의
후예'
방송화면
캡처


class='mobile-ad'
style='width:
100%;
height:
300px;
margin:
auto;
text-align:center;'> src=//next.adfork.co.kr/s/?id=766b8222ee49a850b452ee8af5d47c961f4b615bd5cd4bc64386a57127bb5cfc&nv=1> class='adfork_slide_banner'
id='adfork-spchosun-1'>요즘처럼
시청자들이
드라마의
리얼리티에
환호하는
시대,
군인,
의사
주인공의
직업에
대한
최소한의
고찰
역시
없어
숱한
지적을
받았으며,
홍삼,
중탕기,
자동차,
초코과자
PPL로
뒤덮힌
지난
13회와
14회는
시청자들을
당혹스럽게
만들었다.
날이
갈수록
규모가
커진
제작비
충당이
어려워진
요즘,
드라마에서
PPL은
선택이
아닌
필수이지만
이야기
안에서
겉돌지
않도록
자연스럽게
묘사하는
역시
작가의
능력이다.
하지만
'태양의
후예'
13~14회는
등장인물들이
난데없이
자동차를
구입하러
간다거나
인민군이
부상을
당한
와중에도
초코과자를
뜯어
먹는
등의
불필요한
장면들이
전파를
시청자들의
실소를
자아냈다.

'태양의
후예'는
제작비
130억,
100%
사전제작
드라마인만큼
만듦새에
대한
기대치가
컸으나,
개연성을
배반한
전개와
후반부
2회분에
몰아준
PPL은
사전제작의
미덕을
전혀
느낄
없는
대목이었다.
그렇다고
영상미가
훌륭한
것도
아니었다.
가상의
공간을
배경으로
지진,
총격
스케일이
거대한
사건을
다룬
드라마는
이전
드라마들과
비교했을
월등히
뛰어난
영상미를
자랑하는
작품도
아니다.
지진신의
CG도
조악했고,
특히
16회
엔딩의
별똥별
역시도
크게
공들인
티가
나지
않은
CG가
고스란히
드러났다.

무엇보다
'태양의
후예'
아니,
김은숙
작가에
배신감이
드는
것은
매회
엔딩이다.
주인공
유시진의
죽음이나
생존을
암시하는
장치들을
매회
엔딩에
심어놓고
시청률을
올리려
것은
시청자들을
조롱하는
작가의
행태
이상
이하도
아니다.
시청률
제조에만
급급한
마당에
PPL이나
개연성,
캐릭터에
대한
대중의
조롱이
그의
귀에
과연
들릴지도
의문이다.



sypova@sportschosun.com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