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
|
|
|
|
|
|
|
|
|
|
|
스포츠맨십, e스포츠에서도 느낄수 있을까?
"공정한 스포츠는 '스포츠맨십'을 통해 이루어지며 존경 받아 마땅한 위대한 정신"
e스포츠는 승부조작,헬퍼등 스포츠맨십에 어긋나는 행동을 많이 한다.
과연 어떤 게 스포츠맨십일까?
관중이 휘슬을 불고 이란선서는 반칙으로 착각해 공을 손으로 잡는다.
심판이 핸들링 파울로 PK선언, 이란 선수들은 항의를 하지만 받아들여지지 않는다.
덴마크 선수는 감독에게 찾아가 페어플레이 하겠다고 한다.
그리고 키커로 나선 'Morten Weighorst' 공을 골대가 아닌 골라인 밖으로 찬다.
관중들은 노골한 선수에게 큰 박수를 쳐주었다. 골보다 큰 감독을 준 장면으로 유명하다.
한국이 종주국이라고 불리는 e스포츠에서도, '스포츠맨십'을 느낄 수 있을까?
"저항기를 연속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좋지 않은 습관이라고 전해주세요"
한국 블소 토너먼트 참여 선수가 중국 선수 옆에 선 통역가에게 전한다.
업데이트 속도가 가장 빠른 한국 선수들이, 경재 상대인 타국 선수들에게 조언을 하였다.
이 대회에서 'Xu jinglin"선수는 한국의 '김신겸'선수를 8강에서 꺾고 4강에 진출하였다.
한국 선수들의 조언이 없었다면 다른 결과를 낳았을지도 모른다.
한국 선수들은 승패를 떠난 공정한 경기를 선택하였다.
e스포츠는 앞으로도 그 규모가 방대해 질 것이다.
규모가 커진 만큼 e스포츠에 필요한 것은 '스포츠맨십'일 것이다.
송경민 기자(songkm77@gamtoon.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