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C초점]올해도 男영화 압도...女배우 기근 충무로 어쩌나

최종수정 2016-09-03 07:59


[스포츠조선 고재완 기자] 충무로에서 여배우 기근 현상이 아직도 이어지고 있다.

여자 캐릭터가 작품 속에 등장하지 않는다는 말이 아니다. 여성 캐릭터가 부수적이거나 조력자 역할에 그친 작품들만 나오고 있다는 말이다.

올해만 해도 여배우가 중심이 된 영화는 '덕혜옹주'와 '굿바이 싱글' '아가씨' 정도다. 물로 세 작품 모두 흥행에 성공하긴 했지만 여성 캐릭터를 중심으로한 영화가 모자라 보이는 것은 사실이다.

9월 개봉 예정작인 '밀정'은 송강호과 공유가 중심을 잡고 가는 작품이고 '고산자, 대동여지도'는 김정호 선생의 일생을 다룬 작품이다. 22일 개봉하는 '대결'은 두남자의 액션을, 28일 개봉하는 '아수라'는 남자들의 어두운 세계를 그린 영화다.

8월까지 올해 박스오피스를 봐도 아빠의 부성애를 그린 '부산행', 사기꾼과 검사 이야기 '검사외전', 6·25의 첩보부대 활약을 그린 '인천상륙작전', 무너진 터널에 갇힌 남자이야기 '터널' , 한 마을에 씌인 귀신이야기 '곡성' 등 톱10에 포함된 대부분의 영화가 남자 이야기다. 여성중심 작품은 '덕혜옹주'와 '아가씨' 뿐이다.


'여배우 기근'은 약 10년 전부터 계속 돼온 현상이다. 매년 기껏 한두편의 여성 중심 영화가 등장해 올해가 많은 편에 속할 정도다. 게다가 흥행면에서도 좋은 성적을 거두지 못해 관계자들을 더욱 안타깝게 하고 있다. 이로 인해 여배우들의 볼멘소리가 나올만 하다. 한 여배우 소속사 관계자는 "들어오는 작품들 대부분이 남자 주인공을 서포트하는 역에 머물고 있다"며 "그렇다고 모두 거절해버리면 할 작품이 없다"고 아쉬워했다.

상황이 이러니 악순환은 계속 되고 있다. 여배우를 중심으로한 영화가 없으니 관심도 떨어지고 투자가 힘들어지면서 작품 제작도 이뤄지지 않는 것이다. 게다가 로맨틱코미디물의 인기까지 떨어지면서 여배우들이 중심이 되는 영화들은 투자도 안된다는 말이 업계의 정설이 됐다.

한 영화 관계자는 "장르를 다양화해 여배우들이 출연할만한 영화를 만들어야한다는 말도 이제 식상하다. 투자도 힘든 판에 누가 힘들게 만드려고 하겠나"며 "뭔가 물꼬를 트는 일이 중요하다. 지금 상황에선 여배우를 주인공으로한 영화 하나가 '대박'을 떠뜨리고 그에 따라 비슷한 장르물이 줄이어 제작되는 것이 가장 가능성 있는 시나리오다"라고 진단했다.


고재완 기자 star77@sportschosun.com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