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포츠조선 조지영 기자] 데뷔 13년 차 배우 심은경이 이미지 변신에 대한 자신의 소신을 전했다.
|
특히 심은경은 2011년 개봉한 '써니'(11, 강형철 감독)로 736만명을, 2012년 '광해, 왕이 된 남자'(추창민 감독)으로 1231만명을, 2014년 '수상한 그녀'(황동혁 감독)로 865만명을 끌어모으며 충무로 '최연소 흥행퀸'으로 거듭났다. 최근엔 올해 최고의 흥행작이자 첫 1000만 관객을 돌파한 '부산행'(연상호 감독)에서 강렬한 오프닝으로 화제를 모으기도 했다.
그동안 멜로는 물론, 코미디, 드라마, 휴먼, 스릴러, 애니메이션 더빙 등 다채로운 장르와 캐릭터를 넘나들며 독보적인 행보를 보인 심은경. 이렇듯 화려한 필모그래피를 가진 13년 차 베테랑 배우로 거듭난 심은경이 올해엔 상업영화가 아닌 독립영화 '걷기왕'으로 눈을 돌렸다.
"만복과 전 정말 닮은 구석이 많아요. 그냥 영화를 보시면 실제 심은경의 모습을 많이 볼 수 있을 거예요(웃음). 오래전부터 평범한 일상을 연기하는 캐릭터에 대한 로망이 있었는데 기회는 찾아온다는 말처럼 운명처럼 '걷기왕'을 만나게 됐죠. '걷기왕' 아이템을 들었을 때만 해도 '재미있겠다'며 시나리오를 읽어보고 싶었죠. 역시나 시나리오를 읽어보니 제가 찾던 연기 톤의 캐릭터가 있더라고요. 이건 무조건 해야겠다 싶어 단숨에 선택했어요. 만복이는 캐릭터 설정을 집어넣지 않고 자연스럽게, 편안한 연기를 보여줄 수 있는 인물이죠. 덕분에 저의 일상적인 모습, 감정들, 상황에서 오는 느낌들을 넣을 수 있었어요. 여고생이기 때문에 화장기를 없앴고 더 나아가 여드름도 더 잘 보이게 찍어달라고 부탁하기도 했어요. 딱 제 학창시절이었고 그래서 더 현실적인 애드리브가 나왔던 것 같아요."
|
"'부산행' '걷기왕' 전에는 스스로 자꾸 변신해야 한다는 강박관념이 있었어요. 크게 뭔가를 보여줘야 한다는 부담감에 사로잡히기도 했고요. 제일 우선은 저 자신이며 제가 하고 싶은 연기, 저를 우선시할 수 있는 상황에 맞춰야 하는데 저보다 대중의 시선에 맞추기만 급급했던 것 같아요. 남의 시선을 신경 썼는데 그게 제 착각이었어요. '이게 아니구나!' 깨닫고 나선 작품을 보는 폭이 더 넓어졌죠. 주·조연을 떠나 연기하는 배우가 매력적으로 다가온다는 걸 알게 됐고 또 제가 그런 선택을 하게 될 때 주저 없이 도전할 수 있는 용기도 생겼어요. 그리고 사실 성인이 된 후 진한 화장, 성숙한 패션을 혼자 시도해본 적이 있는데 진짜 안 어울리더라고요. 변신은 제게 정말 안 맞는 옷이었어요. 하하. 주변에서도 다들 반대했고요(웃음). 그냥 평범하게 지내는 게 제일 '나 답다'라는 생각을 했어요. '걷기왕' 속 모습처럼, 혹은 오늘처럼 화장기 거의 없는 모습이 제겐 제일 예쁜 모습인 것 같아요. 아무것도 안 하는 게 더 예쁘다는걸 깨달은 거죠. 하하."
한편, '걷기왕'은 심은경, 박주희, 김새벽, 허정도, 김광규 등이 가세했다. 단편영화 '잘 자, 좋은 꿈꿔!'로 데뷔, 장편 독립영화 '반드시 크게 들을 것'을 연출한 백승화 감독이 메가폰을 잡았다. 오는 20일 개봉한다.
soulhn1220@sportschosun.com 사진=김경민 기자 kyungmin@sportschosun.com, 스포츠조선DB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