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포츠조선닷컴 정안지 기자]'선을 넘는 녀석들' 세종대왕을 완벽 탐구했다.
유능하고 열정적인 상사 세종대왕은 잠시도 신하들을 쉬게 내버려 두지(?) 않았다고 한다. 사직을 청하면 받지 않고 거절하는 것은 물론, 상중에도 일을 시켰다는 것. 쉴 틈 없이 일한 집현전 학자들 덕분에 백성들이 태평성대 속에서 살아갈 수 있었음을 짐작하게 했다.
설민석은 백성 사랑꾼 세종대왕의 이야기도 이어갔다. 600년을 앞서간 세종대왕의 복지 정책은 감탄을 자아냈다. 세종대왕은 관비의 출산휴가를 무려 130일까지 보장했고, 이는 지금 법적 출산휴가 90일 보다 더 길어 눈길을 끌었다. 여기에 장애를 가진 백성의 처우 개선에도 힘을 써 일자리 지원까지 했다. "세상에 버릴 사람은 없다"는 세종대왕의 애민 정신이었다.
이어 흠경각으로 이동, 특별 손님으로 온 물리학자 김상욱 교수가 과학 분야에서도 위대한 업적을 남긴 세종대왕의 이야기를 이어갔다. 흠경각은 장영실 등 과학자들이 모여 연구를 하고, 측우기, 혼천의 등 여러 발명품들이 탄생시킨 조선 과학의 중심지. 김상욱 교수는 "지금으로 치면 대덕연구단지, KIST(한국과학기술연구원)을 모아 놓은 종합과학연구단지라고 보면 된다"고 설명을 덧붙였다.
전현무가 당시 조선의 과학 기술이 세계적으로 어느 정도였는지 묻자, 김상욱 교수는 "15세기 후반 본격적으로 서양 과학 기술이 발전했는데, 그때 조선의 과학 기술은 톱 클래스에 다다른 시기"라고 말했다. 이에 설민석은 조선 과학 발전은 백성들이 잘 먹고 잘 살게 하기 위한 것이라고 강조했고, 김상욱 교수는 농경 사회였던 조선 시대 천문학의 중요성과, 세계적인 수준으로 꽃피운 조선의 천문학을 눈높이 설명으로 알려줘 눈길을 끌었다.
마지막으로 세종대왕과 천재 과학자 장영실의 유명한 걸작 '자격루'에 관한 미니 과거 시험이 펼쳐졌다. 전현무, 김종민, 유병재는 자격루의 원리를 듣고 그림으로 그려냈고, 상상 초월 혼돈의 그림들이 폭소를 유발했다. 이어 조선의 운명을 바꾼 혁명적 물시계 '자격루'의 웅장한 자태와 마주한 '선녀들'의 모습, 계속되는 신비한 세종 과학 탐사 2탄이 예고되며, 다음 방송을 향한 기대를 높였다. MBC '선을 넘는 녀석들-리턴즈'는 매주 일요일 오후 9시 5분 방송된다.
anjee85@sportschosun.com
▶2020 신년운세 보러가기
▶눈으로 보는 동영상 뉴스 핫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