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포츠조선 조지영 기자] 배우이자 공연 연출 및 제작자로 활동 중인 송승환이 굴곡 많았던 인생스토리를 공개해 눈길을 끌었다.
14일 방송된 TV조선 '스타다큐 마이웨이'(이하 '마이웨이')에서는 송승환의 인생 스토리가 그려졌다. 송승환은 1965년 아역 성우로 데뷔한 뒤 드라마와 영화, 공연에 출연할 뿐 아니라 MC, 라디오 DJ, 교수 등 다양한 분야에 열정을 쏟으며 종횡무진 활약해왔다. 최고의 전성기를 누리던 때 돌연 미국으로 떠난 그는 브로드웨이 공연들을 보며 영감을 받아 '난타'를 제작, 세계적으로 인정받으며 최고의 공연 제작자 반열에 올랐다. 이후 2018년 평창 동계올림픽 개·폐막식의 총감독을 맡으며 전 세계적으로 찬사를 받으며 또 한 번의 성공을 거둔다.
이어 "서울의 여러 대학 병원을 찾아다니고 미국과 일본에 유명하다는 병원도 찾아갔다. 눈을 고치기 위해서 병원을 찾아다니는 일로 오랜 시간을 보냈다. 하지만 결과는 치료 방법이 없었다"며 "안 보이는 상태에서도 일 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았다. 보지 못하면 들을 수 있는 그런 기술을 찾아다니면서 습득하고 좀 더 문자를 크게 볼 수 있는 방법을 알아봤다. 화면을 크게 볼 수 있는 여러 가지 기구도 개발하고 보지 못해도 들을 수 있는 IT 기술을 찾아다니면서 습득했다"고 핸디캡을 극복하기 위한 노력을 전했다.
갑작스러운 실명 위기에 절망적인 상황임에도 좌절하지 않았다는 송승환. 그는 "아무도 모르게 딱 한번 나 혼자 밤에 시원스럽게 한번 울고 그 다음부터 편하게 살고 있다"고 털어놨다.
이어 "그냥 받아들여 달라. 크게 걱정 안 해도 된다. 어두워지면 많이 안 보이지만 형체는 알아볼 수 있다. 자주 다니는 곳은 문제가 없는데 처음 가는 곳에서는 조심하고 있다"며 "눈이 나빠지던 게 진행이 멈췄다. 안타까워할 것 없다. 안 보이면 안 보이는 대로 살면 된다. 이왕 닥친 일이라면 그냥 긍정적으로 받아들이고 사는 게 좋은 것 같다"고 긍정적인 모습을 보였다.
송승환이 이런 힘든 시련을 대범하게 이겨내는 이유는 어렸을 때부터 겪은 시련으로 단단해진 마음때문이다. 송승환은 "어릴 때 집안도 여러 번 망해봤고 어려운 일을 좀 많이 겪었다. 긍정적인 마인드는 경험으로 얻은 결론이다"고 밝혔다. 그는 "1965년에 아역 성우로 시작했다. 내가 어릴 때 부모님이 사업에 실패하셔서 좀 어렵게 사는 집안이었고 그래서 어쩔 수 없이 소년 가장이 됐던 거다"고 털어놨다.
조지영 기자 soulhn1220@sportschosun.com
2021 신축년(辛丑年) 신년 운세 보러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