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포츠조선 문지연 기자] "제2의 '오징어 게임' 만들자"는 움직임 속에 '한국형 오리지널'에 대한 전세계적 관심이 폭주하고 있다.
한국형 콘텐츠에 대한 세계적인 관심이 이저지고 있다. 이미 넷플릭스 '킹덤'과 '스위트홈' 등으로 인정받았던 K-콘텐츠 시장이 '오징어 게임'이라는 완벽한 특수를 만나 이전과는 위상 자체가 달라진 흥행을 이어가고 있는 것. 이 전례 없는 돌풍 속에 디즈니플러스, 애플TV 등 글로벌 OTT(온라인동영상서비스)들과 티빙, 웨이브로 대표되는 국내 OTT업계가 제2의 '오징어 게임'을 발굴하기 위한 콘텐츠 확보전을 벌이고 있다.
아직 국내에 확실히 진출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적극적인 K-콘텐츠 발굴로 인해 확고한 자리 선점을 이끌어내고자 하는 전략으로, 애플은 국내 통신사인 SK텔레콤 등과 함께 제휴 방안을 논의하고 있다. 여기에 영상물등급위원회에 애플TV플러스 오리지널 콘텐츠들에 대한 콘텐츠 심의를 받는 중이라 국내 진출이 성큼 다가왔음을 시사했다.
|
|
국내 시장도 발 빠르게 움직이는 중이다. 넷플릭스 1강 체제를 유지하고 있던 국내 OTT 시장에는 이제 디즈니플러스에 애플TV까지 접근하며 콘텐츠 르네상스 시대가 됐다. 티빙은 올해 '마녀식당으로 오세요'부터 '유미의 세포들'. '환승연애'까지 공개하며 단단한 시청층을 확보했다. KT의 콘텐츠 자회사인 스튜디오지니도 윤계상과 고아성 주연의 '크라임퍼즐'을 첫 오리지널 드라마로 택해 공급한다. 스튜디오드래곤은 국내뿐만 아니라 해외에까지 손을 뻗치며 다양한 콘텐츠 합작 에 나선다. 최근에는 미국의 제작사 스카이댄스 미디어와 오리지널 콘텐츠 제작에 대한 얘기도 나눴다.
K-콘텐츠에 대한 OTT 업계의 관심은 계속해서 뜨거워질 전망이다. 200억원의 제작비로 시작한 '오징어 게임'의 놀라운 성공이 불을 붙인 셈. 넷플릭스 역시 방어전으로 한소희 주연의 '마이네임', 유아인, 박정민의 '지옥' 등을 내년까지 꾸준히 공개한다. 콘텐츠 관계자들은 "한국의 특별한 콘텐츠와 저비용 고효율이 해외 관계자들의 시선을 국내로 향하게 만들었다"고 입을 모았다.
문지연 기자 lunamoon@sportschosun.com
재테크 잘하려면? 무료로 보는 금전 사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