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포츠조선 문지연 기자] 김은희 작가의 오컬트, '악귀'는 달랐다.
장르물의 재미 속에서도 사회에 대한 깊이 있는 통찰과 메시지까지 놓치지 않는 김은희 작가의 강점 역시 돋보였다. "'청춘'에 관한 이야기를 하고 싶었다"는 기획 의도가 이질적이라 느껴졌던 오컬트 장르에도 자연스레 녹아든 것. 온갖 아르바이트로 생계를 유지하며 공무원 시험 준비를 하고 있는 '흙수저' 청춘 산영은 "남의 돈 받는 일은 해본 적 없다"는 동창생 윤정과 대비됐다. 학대가 벌어졌던 끔찍한 집에서 탈출하고 싶어도 싼 월세에 발목 잡힌 절친 백세미(양혜지)는 "아파트에서 불행하면 행복하게 불행할 수 있을 것 같다"는 웃픈 희망을 읊조리기도 했다. 이 시대 청춘의 리얼한 현실이 그려진 것이다.
"인간의 잠재된 욕망을 들어주며 크기를 키운다"는 악귀의 설정에도 사회를 악으로 물들이는 범죄가 등장했다. 악귀가 산영의 엄마 경문(박지영)에게 사기를 쳐 집 보증금을 갈취한 보이스피싱범을 죽음으로 몰고간 것. 귀신의 존재를 믿지 않던 산영이 귀신을 보게 되는 과정에서도 아동 학대와 가정 폭력이라는 끔찍한 사건을 녹였다. "앞으로도 산영이 해상과 함께 악귀 미스터리를 추적하는 과정에서 다양한 사회 악이 다뤄진다"는 것이 제작진의 설명. '기억해야 할 사건과 사람들'에 대한 메시지를 꾸준히 전한 김은희 작가가 이번에는 시청자들의 가슴에 어떤 파고를 일으킬지 궁금해지는 대목이다.
문지연 기자 lunamoon@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