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포츠조선 조지영 기자] 위기의 한국 영화 체질 개선을 위해 김지운(59) 감독이 두 팔을 걷고 나섰다.
블랙 코미디 영화 '거미집'(앤솔로지 스튜디오·바른손 스튜디오 제작)으로 5년 만에 스크린으로 돌아온 김지운 감독. 그가 21일 오전 서울 종로구 삼청동에서 스포츠조선과 만나 '거미집'의 연출 과정부터 페르소나 송강호와 재회한 소감을 전했다.
예측불허의 삶과 영화 현장을 가로지르는 코미디, 공감은 물론 캐릭터들의 개성과 매력, 차진 앙상블이 돋보이는 작품 '거미집'. 특히 '거미집'은 김지운 감독이 데뷔작 '조용한 가족'(98)을 시작으로 '반칙왕'(00) '좋은 놈, 나쁜 놈, 이상한 놈'(08, 이하 '놈놈놈') '밀정'(16)으로 호흡을 맞춘 송강호와 다섯 번째 재회로 많은 관심을 끌었다.
|
그는 "모든 것은 특수한 것에서 보편적인 것을 얻어가는 것 같은데 '거미집'의 대중성에 대해 우려하는 이야기를 들을 때 의문이 들기도 한다. '조용한 가족' 같은 영화를 기다렸던 관객이 조금씩 환호했던 것처럼 '거미집'도 그럴 수 있지 않을까 기대가 있다. '조용한 가족'을 지지하고 환호했던 관객이 많아지면 한국 영화도 체질이 개선되지 않을까 싶기도 하다. 새로운 돌파구가 되지 않을까 싶다. 확실히 '거미집'을 본 사람들이 '나는 너무 재미있게 봤는데 다른 사람은 어떨지 모르겠다'라는 이야기를 많이 하더라"고 머쓱해했다.
'거미집' 속 송강호가 연기한 김열 감독에 자기기 모습을 투영했다는 김지운 감독. 그는 "알게 모르게 영화 속 김열 감독의 결정적 대사가 내가 현장에서 느꼈던 크고 작은 감정들, 에피소드가 들어가 있다. 김열 감독이 강호세(오정세)와 세트 뒤에 만나 감정적으로 호소하는 장면이나 김열이 신상호(정우성) 감독을 만나면서 자신의 이야기를 하는 것도 그렇다. 김열이 모두들 방해만 한다고 했는데, 엄청난 자기 비난과 의심을 하는 내 모습도 있다. 클라이맥스 장면도 '놈놈놈' 때 에피소드를 담은 것이다"며 "다 같이 좋으려고 만드는 영화인데 어떨 때는 나만 애쓰고 있다는 생각이 들기도 한다. 박찬욱 감독도 비슷한 이야기를 했다. 현장에 있으면 자신이 하루는 천재 같기도 하고 하루는 쓰레기 같다고 하더라. 똑같다. 나도 일상에서는 큰 감정 변화가 없이 평상심을 유지하는 사람이고 현장에서 그걸 유지하려고 하는 감독 중 하나인데 쉽지 않다. 현장에서 왜 이렇게 영화를 못 풀고 있지 원망이 들기도 하고 천국과 지옥을 하루에도 수십 번 왔다 갔다 한다. 현실에서 아무리 큰 비극을 느껴도 이 정도로 내 감정을 흔들어 놓지 않는데 '영화 이게 뭐라고' 싶을 때도 있다. 죽을 것처럼 고통스럽다가 환희에 차기도 한다. 하루에 여러 번 감정을 느낀다"고 말했다.
|
이와 관련해 김지운 감독은 "존경하는 선배 감독이 몇이 있는데 그 안에 항상 언급되는 감독이 김기영 감독이다. 국내도 그렇지만 해외에서도 매체 인터뷰를 할 때 존경하는 감독으로 꼭 김기영 감독을 언급했다. 내가 장르 감독이고 스릴러 호러 영화를 만들 때 스타일에 대해 영향을 받기도 했다. 김기영 감독처럼 되고 싶다는 열망도 있었다"며 "이번 문제로 김기영 감독의 유족들을 만났을 때 김기영 감독을 향한 존경심을 담은 진심을 이야기했다. 실제로 과거 김기영 감독에게 조감독을 소개받는 자리에서 김기영 감독을 직접 만나기도 했고 김기영 감독으로부터 영화를 해석하는 미션을 받기도 했는데 그때 내가 80점이라는 점수를 받기도 했다. 그 점수가 정말 잘 받은 것이라고 나중에 들었다. 내 진심이 김기영 감독의 유족에게 전달됐을 거로로 생각했다. '거미집'은 그 시대 전체적인 느낌을 담고 싶지 확실히 김기영 감독을 특정해서 만든 영화가 아니다"고 해명했다.
|
그는 "훌륭한 배우가 되는 것은 훌륭한 사람이 되는 것이다. 겸손하지 않으면 또 슬기롭게 대처하지 않으면 최고의 자리에 못 간다. 정상에 오르는 건 쉬울 수 있는데 그걸 유지하는 게 다른 차원의 진짜 어려운 지점이다. 더 훌륭한 연기자가 된다는 것은 훌륭한 사람이 된다는 것인데 그걸 증명해 준 배우가 송강호인 것 같다. 나는 다른 표현으로 '현장에 제작자 한 명이 더 있는 것 같다'라고 이야기했다. 모든 것을 다 보는 배우다. 제작자는 현장을 지키는 사람이다. 현장을 전체적으로 검토하는 사람인데 송강호는 자기 것만 지키려는 배우가 아니라 전체적으로 본다"며 "확실히 내게 송강호, 이병헌은 페르소나 이상의 무언가가 있다. 두 사람은 누구의 페르소나라고 감히 이야기할 수 없다. 이병헌도, 송강호도 페르소나라는 이야기를 하는데 두 배우는 누구의 페르소나가 아니다. 굳이 말한다면 모두의 페르소나로 불릴 수 있다. 위대한 배우다. 훗날 위대한 배우를 언급할 때 그 두 배우는 언급될 것 같다"고 칭찬을 아끼지 않았다.
|
조지영 기자 soulhn1220@sportschosun.com 사진=바른손이앤에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