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1년 전 K리그는 '용병 비리'로 한 차례 내홍을 겪었다. 2009년에도 모 구단 감독이 구속됐다.
부산지검은 B사장과 관련해 전방위로 수사를 펼쳤다. 구단과 자택을 압수수색한 데 이어 B사장이 영입, 현재 K리그를 누비고 있는 외국인 선수도 소환, 조사했다. B사장 주변 인물과 계좌 추적도 끝낸 것으로 전해졌다. 이 과정에서 '검은 돈'의 흐름을 포착했다. 저가인 외국인 선수 몸값을 부풀려 이면계약을 통해 뒷돈을 챙긴 혐의다. 반면 B사장은 혐의를 강력하게 부인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검찰이 다시 칼을 꺼내든 것은 현 정부의 움직임과도 궤를 함께한다. 문화체육관광부는 지난해 초 승부 조작 및 편파 판정, 폭력·성폭력, 입시 비리, 조직 사유화 등을 스포츠계에서 척결돼야 할 '4대악'으로 규정했다. 지난해 5월에는 검·경 합동수사단을 꾸려 대대적인 수사에 나서기도 했다. 합동수사단은 해체됐지만 스포츠계의 비리는 어떻게든 뿌리뽑아야 한다는 기조는 유지되고 있다.
부산지검이 K리그 외국인 선수 이적 과정에서의 비리를 조사하기 시작한 것은 올해 초다. B사장의 경우 지난 주 소환해 강도높은 조사를 벌였다. 축구계에 잔뼈가 굵은 B사장은 외국인 선수 영입에 한해서는 감독은 물론 구단 관계자들과 상의없이 독자적으로 계약을 추진한 것으로 전해졌다.
김성원 기자 newsme@sportschosun.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