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폭풍전야의 고요다.
전북 구단 측은 한국프로축구연맹의 움직임을 주시하고 있다. 프로연맹은 1차 공판일이 지정되면 상벌위원회를 개최해 전북에 대한 징계 수위를 논하기로 했다. 2014년 말 터진 경남FC의 심판 매수 사건 역시 1차 공판일이 지정되자 상벌위를 열어 승점 10점 삭감에 7000만원 벌금의 징계를 내린 바 있다. 프로연맹은 1차 공판일 이틀 뒤인 내달 1일 서울 신문로 축구회관에서 상벌위를 개최하기로 했다. 상벌위의 최대 관심사는 징계 수위와 시점이다. 이번 사건이 과연 개인의 일탈인지, 구단의 조직적 개입인 지에 대한 판단과 실제 징계가 내려질 경우 곧바로 적용될 지 여부다.
전북 구단 측은 신중에 신중을 기하는 모습이다. 사건 초기 전북 측은 사건에 대해 '차 모 스카우트 개인의 일탈'이라는 입장을 밝혔다가 여론의 뭇매를 맞았다. 이철근 단장과 최강희 감독이 '책임'을 언급하면서 들끓던 분위기는 수그러 들었다. 공판, 상벌위를 앞두고 사건이 다시 거론되는 데 대해 부담스러워 하는 눈치다. 상벌위 출석을 앞둔 이 단장은 일찌감치 외부 행사 불참을 통보했다. 김동탁 전북 부단장은 "프로연맹 상벌위에서 결정이 나오길 기다리고 있을 뿐, 구체적인 입장을 밝힐 수 있는 상황이 아니"라면서도 "선례(경남 사건)가 기준점이 되지 않겠느냐"고 조심스러운 입장을 내놓았다.
전주=박상경 기자 ppark@sportschosun.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