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방콕(태국)=스포츠조선 김 용 기자] 만만치 않은 우즈베키스탄, 어떤 점을 조심해야 할까.
김학범 감독은 조 1, 2위가 그렇게 중요하지 않다고 하지만 이왕이면 조 1위로 올라가는 게 좋다. 아무래도 D조 1위팀 보다는 2위팀의 전력, 기세가 조금 더 부족할 수 있다. 상대보다 중요한 게 대표팀 페이스다. 김학범호는 1, 2차전 큰 폭의 라인업 교체로 재미를 봤다. 김 감독은 대회에 들어오기 전부터 조별리그 각 경기 그림을 모두 그려놨다. 구상한대로 팀을 운영해야 8강전에서 김 감독이 원하는 경기를 해낼 수 있다. 김 감독은 "우즈베키스탄전도 마지막이라는 각오로 싸운다. 우리가 준비한대로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하지만 우즈베키스탄이 만만한 적은 아니다. 이 대회 디펜딩 챔피언이다. A대표팀, U-23 레벨 모두 아시아에서의 입지를 점점 넓혀가고 있다. 지난해 말 한국에서 치른 두 차례 평가전에서도 1승1패로 우열을 가리지 못했다. 이번 대회 이란과의 조별리그에서는 1대1로 비겼지만, 2차전인 중국전에서 2대0으로 완승을 거두며 살아난 모습을 보였다.
특히, 공격진을 경계해야 한다. 원톱으로 나서는 압디솔리코프(등번호 10번)는 골 결정력과 좌-우 공간을 보는 능력을 모두 갖췄다. 1m77, 64kg로 체구는 크지 않지만 스피드가 있다. 우즈베키스탄이 무서운 건 측면 공격이다. 오른쪽에 야크시보에프(등번호 9번)가 사실상 우즈베키스탄의 에이스다. 개인 능력이 출중하다.
왼쪽의 코디르쿨로프(등번호 22번)는 키는 1m70으로 작지만 매우 빠르고, 수비수 한 명은 쉽게 제칠 수 있는 개인 능력을 갖췄다. 이 세 사람이 자리를 바꿔가며 만들어내는 공격을 막아내야 한국에 승산이 있다.
이 선수들의 개인 기량이 좋다는 건 1, 2차전 페널티킥 기록으로 알 수 있다. 우즈베키스탄은 1차전 이란전 선취골을 페널티킥으로 만들었고, 2차전 중국전에서도 두 개의 페널티킥을 얻어냈다. 공격수들의 개인기가 좋다 보니, 상대 수비수들이 에어리어 안에서 드리블을 저지하려다 자기도 모르게 발을 걸어 넘어뜨렸다. 수비수이자 주장인 코빌로프가 페널티킥 전담 키커인데, 중국전 두 번째 페널티킥을 실패하기는 했지만 기본적으로 킥 능력이 좋다.
우즈베키스탄의 아킬레스건은 골키퍼. 압두바키드가 골문을 지키는데 그는 이 팀의 막내다. 2001년생이다. 지난해부터 갑자기 주전으로 치고 나온, 우즈베키스탄이 키우는 골키퍼라고 한다. 하지만 경험이 부족한 타인지 골문에서의 순간 판단력이 떨어지는 모습을 여러차례 보여줬다.
방콕(태국)=김 용 기자 awesome@sportschosun.com
2020 신년운세 보러가기
눈으로 보는 동영상 뉴스 핫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