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포츠조선 윤진만 기자]한국 축구가 A매치 열기로 뜨거웠던 6월 초중순, 중국과 프랑스에선 유망주들이 연거푸 고개를 떨궜다. 한국 U-21팀이 참가한 모리스 레벨로 국제친선대회(일명 툴롱컵)에서 조별리그 4전 전패를 당한 뒤 지난 14일 '최약체' 인도네시아를 2대1로 꺾고 10개팀 중 9위를 했다. U-19팀은 중국 산시성 웨이난에서 열린 중국축구협회(CFA) U-19 4개국 친선대회에서 중국에 패하며 1승1무1패로 우승을 놓쳤다. 우즈베키스탄과 1대1로 비기고, 중국에 0대2로 졌다. 동 연령대 대회에서 중국에 패한 건 무려 20년만이다. 축구계 현장에선 '예견된 실패'라는 목소리가 높다. 한국 U-21팀과 U-19팀은 '급조된 팀'에 가까웠다. U-21팀은 협회 전임지도자가 아닌 '외부인' 최재영 선문대 감독에게 임시 지휘봉을 맡긴 문자 그대로 '선발팀'이었다. 프로 소속 선수 차출이 어려워 대학생 위주로 발탁한 '대학 선발팀'이었다. 동나이대 최고의 선수들로 구성된 '대표팀'과는 거리가 있었다. U-19팀은 그나마 지난달 이창원 전 동명대 감독을 정식 사령탑으로 선임했지만, 국내 소집훈련 한번 없이 중국으로 떠났다. 황희찬(울버햄턴)을 키워낸 이 감독은 "내 스타일대로 도전하겠다"고 출사표를 던졌으나, 스타일을 입히고 서로 소통할 시간적 여유없이 곧바로 데뷔전을 치러 아쉬움 진한 성적표를 받아들었다. 선수 개개인의 실력을 떠나 1년 넘게 발을 맞춰온 중국, 우즈베키스탄과의 조직력 싸움에서 밀렸다는 평가다.
일본은 16세부터 20세 대표팀의 2024년 세부 일정을 일찌감치 공개했다. 16세팀은 3월, 8월, 12월 세 번에 걸쳐 유럽 투어를 게획 중이다. U-19팀은 9월 아시안컵 예선을 치른 뒤 11월에 해외 전지훈련에 나선다. 대한축구협회는 20일 '한국축구 기술철학'을 발표한다. 그 안에는 '연령별 대표팀 목표설정과 운영방안 브리핑'도 포함된다.
윤진만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