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때 아프리카의 우간다보다 못하다는 평가를 받았던 한국의 금융발전 정도가 일본과 홍콩, 프랑스, 독일 등 소위 선진국을 제치고 세계 183개국 중 6위라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특히, 금융시장의 효율성은 세계 1위, 금융시장의 발전지수는 미국에 이어 세계 2위를 기록했다.
IMF는 금융심도, 금융접근성, 금융효율성 등 3가지 요소로 금융발전 수준을 종합 평가할 수 있는 금융발전지수를 개발, 세계 183개국의 지수를 산출했다. 금융발전지수는 0부터 1 사이의 숫자로 표시되며 1에 가까울수록 금융발전 수준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조사결과 한국의 금융발전지수는 0.854로 집계돼 조사대상인 183개 국가 중 6위를 기록했다. 세계 1위는 금융발전지수가 0.951인 스위스가 차지했다. 2위에는 호주(0.890), 3위는 영국(0.882), 4위는 미국(0.877), 5위에는 스페인(0.860)이 각각 이름을 올렸다.
한국에 이어 캐나다(0.847)와 일본(0.827), 홍콩(0.827), 이탈리아(0.785)가 뒤를 이었다. 프랑스(0.763)는 11위, 독일(0.747)은 14위였고 싱가포르(0.731)는 16위를 차지했다. 중국은 0.572로 33위, 우간다는 0.096으로 160위에 그쳤다.
한국은 금융기관의 심도지수는 0.724로 세계 17위, 접근성지수는 0.700으로 28위, 금융기관의 효율성지수는 0.711로 세계 11위였다.
금융시장 발전지수는 0.902로 집계돼 183개 조사대상 국가 중 미국에 이어 2위에 이름을 올렸다. 세부적으로 심도지수는 0.89로 세계 10위, 접근성지수는 0.754로 세계 9위, 효율성지수는 1.00으로 세계 1위를 차지했다.
IMF의 이번 평가는 세계 각국의 2013년 수치를 토대로 진행됐다.
한국은행 관계자는 "이번 평가결과 한국의 금융발전 수준이 세계 최상위권인 것으로 나타났다"며 "다만, 이 조사방식도 금융혁신이나 금융서비스의 다양성, 국제화 수준 등에 대한 평가는 미흡하므로 과대평가됐을 가능성도 유의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지난해 세계경제포럼(WEF)은 한국의 국가경쟁력 순위가 26위라고 발표하며 금융시장 성숙도는 87위로 81위의 우간다보다 뒤진다는 평가를 내놓은바 있다. 당시 평가방식은 기업인들이 주관적으로 체감하는 만족도를 설문조사한 것으로 객관성에 의문이 제기되기도 했다.
이규복 기자 kblee341@sportschosun.com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