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500대 기업 10곳 중 1곳은 3년째 영업이익으로 이자비용조차 감당할 수 없는 '좀비기업(한계기업)'이거나 좀비기업으로 전락할 위험에 처한 것으로 조사됐다.
20일 기업 경영성과 평가사이트 CEO스코어가 국내 500대 기업 가운데 금융사 및 2015년 사업보고서·연결감사보고서 미제출 기업을 제외한 380개 기업의 이자보상배율 추이를 조사한 결과 3년 연속 1 미만인 기업이 33개사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결과 33개 '좀비기업'의 2015년 영업손실은 총 5조1146억원에 달했다. 한 개 기업 당 평균 1550억원의 영업손실을 낸 셈이다.
33개 기업을 업종별로 보면 건설 및 건자재 관련 기업이 9개로 가장 많았다. 이어 석유화학과 조선·기계·설비업종 기업이 각각 6곳으로 뒤를 이었다.
운송업체 중에서는 3곳이, IT전기전자와 철강업체는 각각 2곳이 해당됐다. 이밖에 종합상사와 생활용품, 식음료, 에너지, 자동차·부품 업체도 각각 1개 기업이 좀비기업 상태였다.
이중 구조조정이 시급한 완전자본잠식 기업은 3개사였고, 부분자본잠식 상태인 곳은 10개사였다.
아울러 12개 기업은 3년 연속 이자보상배율이 마이너스를 기록했다.
최근 2년간 이자보상배율이 1에 못 미쳐 좀비기업이 될 위험에 처한 곳도 10곳이나 됐다.
반면 11개 기업은 이자보상배율이 2년 연속 1미만을 기록하다가 지난해 1을 넘겨 채무상환능력을 회복, 가까스로 좀비기업에서 벗어났다.
한편, 정부는 최근 업종별로 한계기업에 대한 구조조정을 신속하고 강도 높게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장종호 기자 bellho@sportschosun.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