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개혁연대, 대한항공·한진칼·대우조선 이사회 의사록 열람 요구

기사입력 2016-05-11 15:49


대한항공, 한진칼, 대우조선해양의 이사회가 부실 계열사 등에 대한 지원 결정에 개입했는지 여부가 조만간 드러날 것으로 보인다.

경제개혁연대는

대한항공, 한진칼, 대우조선해양 등 3개 대기업을 상대로 부실 자회사 지원 결정에 이사들이 개입했는지를 파악하기 위해 관련 이사회 의사록 열람을 청구했다고 11일 밝혔다.

개혁연대는 이들 3개사 주주 자격으로 이사회가 부실 계열사 지원 거래를 승인하면서 주의 의무를 제대로 이행했는지 따져보겠다는 방침이다. 또한 문제가 발견되면 주주대표소송이나 형사고발을 할 계획이다.

이날 개혁연대에 따르면 대한항공은 2014년 당시 유동성 위기를 겪고 있던 한진해운을 인수한 이후 지속적으로 자금을 지원해왔다.

같은 해 6월에는 한진해운 유상증자에 참여, 4000억원을 투자했고, 6개월 후에는 한진해운이 발행한 자사주 연계 영구교환사채를 인수한 투자자와 차액정산계약(TRS)도 체결했다.

이 TRS계약의 지난해 말 잔액은 1571억원으로, 대한항공은 투자자에 대해 정산차손을 지급할 의무를 진다.

대한항공은 올해 2월에도 기존 대출 차환을 위해 한진해운이 발행한 사모사채 2200억원 어치를 인수했으며 한진칼 역시 같은 달 한진해운으로부터 미국 및 EU 상표권을 1113억원에 사들여 자금을 지원했다.

하지만 한진해운은 결국 채권금융기관공동관리절차(자율협약)에 들어가면서 대한항공은 그동안 투자한 자금이 손실로 처리될 가능성이 높아졌다. 대한항공 지분 31.46%를 보유한 한진칼 또한 지분법 투자 손실을 입게 된다. 한진칼은 한진해운의 구조조정 결과에 따라 지난 2월 1113억원을 들여 취득한 상품권 가치가 '0'으로 되는 손해를 입을 수도 있다.


문제는 대한항공·한진칼 등의 한진그룹 자체도 부실이 심각한 상황이라고 개혁연대는 지적했다.

한진그룹은 2008년 이후 7년 연속 연결부채비율 200% 초과, 연결 이자보상배율 1.00배 미만의 부실 상태를 지속했다는 것이다.

또한 한진그룹의 2014년 말 연결기준 부채비율은 863.3%에 달했고, 이자보상배율은 0.71배에 불과했다.

아울러 개혁연대는 대우조선해양 이사들이 해외 계열사들에 대한 방만한 투자와 지원 결정을 지속적으로 내렸다고 전했다.

대우조선이 재무제표 수정 등으로 인식한 5조원대의 손실 중에는 종속, 관계기업 투자, 대여금, 지급보증 등에서 발생한 1조원 가까운 자회사 투자손실이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다.

개혁연대는 "지난 몇 년간 조선사와 해운사들의 부실이 심화됐음에도 선제적 구조조정의 노력을 게을리 하면서 방치한 결과, 이제는 근로자와 협력업체, 지역경제 등에 심각한 타격을 입히는 방식의 강제적 구조조정이 불가피하게 되었다"며 "그러나 사태가 이렇게 되기까지 대우조선해양과 한진해운의 대주주와 경영진은 아무런 책임을 지지 않고, 계열사 부실을 떠안거나 다른 계열사에 부실을 전가하는 방식으로 부실을 키워 최악의 상황을 만들었다"고 지적했다.

이어 "대우조선해양의 대주주인 산업은행과 금융위원회, 한진그룹의 지배주주인 조양호 회장 등과 이들 회사의 경영진에 대한 철저한 책임 추궁이 먼저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국민들은 '구조조정 고통 분담'에 동의하지 않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장종호 기자 bellho@sportschosun.com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