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환경 자동차, 소음 적어 보행자 사고위험 커

기사입력 2016-06-01 13:30


하이브리드차, 전기차 등 친환경 자동차가 소음이 적은 만큼 보행자들에게는 위협이 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1일 현대해상 교통기후환경연구소가 발표한 '저소음 차량의 보행자 안전 영향 연구' 보고서에 따르면 친환경 자동차가 저속 운행을 할 때 보행자가 소리로 인지할 수 있는 거리가 약 30% 줄어들고, 일반 내연기관 자동차보다 보행자 사고율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결과는 지난 2년간 현대해상의 고객사고 23만4167건의 통계를 분석하고 하이브리드차와 내연기관 자동차의 소음 크기 현장실험을 진행해 얻은 것이다.

분석 결과 차량이 주로 저속으로 주행하는 이면도로와 주차장에서 하이브리드차의 사고율은 5.5%로, 일반 내연기관 자동차인 가솔린차(3.5%)나 디젤차(3.5%)보다 1.6배 높았다.

이 가운데 이면도로에서의 보행자 사고율을 보면 하이브리드차가 0.34%로 가솔린차(0.23%)와 디젤차(0.22%)보다 1.5배 가량 높았다. 특히 하이브리드차에 의한 사고는 10세 이하 어린이(10.1%)나 60세 넘는 고령자(20.2%)군에서 높은 수준을 나타냈다.

이면도로에서 하이브리드차의 사고율이 높은 이유는 조용하다는 점이 꼽힌다. 하이브리드차와 전기차 등의 친환경 자동차는 시속 30㎞ 이하로 저속 주행할 때 엔진을 가동하지 않고 배터리에 의존하는 전기모터만으로 구동되기 때문에 차량 소음이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소음이 적다 보니 보행자가 차량을 인지하게 되는 거리도 하이브리드차가 짧았다. 안대를 한 상태에서 뒤에서 오는 차량의 소리가 들리는 순간의 거리를 측정한 실험에서 하이브리드카의 평균 인지 거리는 13.3m였다. 가솔린차(18.7m)보다 28.6%, 디젤차(22.7m)보다 41.2% 인지거리가 짧아지는 것이다.

이미 해외에서는 친환경 자동차의 저소음이 시각장애인을 포함한 보행자에게 치명적 위험이 될 수 있다는 경고가 나와 대책 마련을 서두르고 있다. 국내에서도 친환경 자동차가 급속히 늘어나고 있는 만큼, 이와 같은 조처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이정혁 기자 jjangga@sportschosun.com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