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형건설사 가운데 GS건설, 부영주택, 쌍용건설 등의 산업재해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환산재해율은 조사대상 건설업체가 시공한 건설현장에서 발생한 산업재해자를 파악, 사망자는 일반재해자의 5배 가중치를 부여하고, 하청업체 재해자는 원청업체에 포함해 산정된다.
재해율은 근로자 100명당 발생하는 재해자 수 비율이다.
대형 건설업체 중에서는 GS건설, 부영주택, 쌍용건설 순으로 환산재해율이 높았다. 반면 한화건설, 현대엔지니어링, 대림산업 순으로 재해율이 낮았다.
이번 조사결과 재해율이 낮은 업체는 사업장 감독을 유예 받고, 재해율이 높은 업체는 정기 감독을 받게 된다.
또한 이날 고용부는 건설업체 산업재해예방활동 실적이 우수한 업체와 불량한 업체도 공개했다.
상위 100대 건설업체 중에서는 한진중공업, 케이알산업, 삼환기업, CJ건설, 원건설 등 산재 예방활동이 우수했으며, 삼부토건, 진흥기업, 한림건설, 반도건설, 삼성중공업 등은 불량하다는 평가를 받았다.
한편, 2015년 공공 발주기관의 건설현장에서 발생한 재해율과 사망만인율은 각각 0.41%, 1.86%로 전년과 비슷한 수준이었다. 사망만인율은 근로자 1만명당 발생하는 사망자 수 비율을 의미한다.
공공 발주기관 중 재해율 및 사망만인율이 가장 낮은 기관은 인천항만공사였다. 반면 가장 높은 기관은 한국철도공사로 집계됐다.
정부는 이번 조사 결과를 '입찰참가자격 사전심사'(PQ·Pre-Qualification)와 '공공기관 경영실적 평가 보고서'에 반영한다는 방침이다.
장종호 기자 bellho@sportschosun.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