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성모병원 조혈모세포이식센터(센터장 혈액내과 이종욱 교수)는 2000~2013년 서울성모·여의도성모병원에서 진료를 받은 혈액암 환자 8674명의 성별, 연령대별 분포와 생존율을 원호스피탈 통합체제 전환 후 처음으로 분석·공개했다.
조혈모세포이식 종류는 자가이식 36.13%(921명), 형제이식 31.66%(807명), 타인이식 24.17%(616명),가족간 반일치이식 4.94%(126명), 제대혈이식 3.1%(79명)으로 자신의 세포가 아닌 형제나 타인의 조혈모세포를 이식하는 비교적 난이도가 높은 동종조혈모세포이식 비율이 높았다. 최근 핵가족화로 조직형이 일치하는 형제를 찾기 어려워 가족간의 반일치 이식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인데, 실제로 급성골수성백혈병의 가족간 반일치 이식은 2002년 3.26%(전체 이식환자 92명 중 3명)에서 2013년 30%(전체이식 환자 120명 중 36명)으로 크게 증가했다.
조혈모세포이식센터장 이종욱 교수는 "최근에는 핵가족화라는 사회적 현상으로 조직형이 일치하는 형제의 조혈모세포이식보다, 가족간 반일치, 타인이식이 증가하고 있고, 고난이도 이식기법의 발달로 고령이거나 다른 기저질환이 있는 환자의 이식과 성공률이 늘고 있다"고 말했다.
김소형기자 compact@sportschosun.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