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서 15년 만에 콜레라 환자가 발생했다.
질병관리본부(KCDC)는 23일 광주광역시 한 의료기관이 신고한 A(59)씨가 콜레라에 걸린 것으로 확인돼 감염 경로 확인을 위한 역학조사를 실시 중이라고 밝혔다.
A씨는 지난 18일 의료기관으로부터 콜레라 의심환자로 신고됐다. 22일 실험실 검사를 통해 콜레라 환자로 확인됐다. 병원에서 격리 치료를 받은 뒤 현재는 건강을 회복해 귀가한 상황이다.
한국은 1980년(환자수 145명), 1991년(113명), 1995년(68명) 집단감염이 발생했다. 2001년 경상도 지역을 중심으로 전국적인 유행이 발발해 162명 환자가 나왔다. 이후에는 간혹 해외에서 콜레라에 걸린 뒤 귀국해 감염 사실이 확인된 경우만 있었다.
방역당국은 A씨가 해외에서 수입된 음식물을 섭취하는 과정에서 콜레라에 감염됐을 가능성이 큰 것으로 보고 방문했던 식당 등을 중심으로 역학조사를 진행하고 있다.
콜레라는 콜레라균에 오염된 어패류 등 식품이나 오염된 지하수와 같은 음용수 섭취 때문에 발생한다. 상수도와 하수도가 제대로 분리되지 않은 곳에서 집단 감염이 발생한다. 드물게는 환자 대변이나 구토물 등과의 직접 접촉에 의해서도 감염될 수 있다.
보통 2~3일 잠복기를 거쳐 증상이 나타나는데, 복통을 동반하지 않는 심한 설사와 구토를 동반한 탈수 등이 대표적인 증상이다. 때로는 저혈량성 쇼크 등이 나타나기도 하고 심하면 사망에 이를 수도 있다. <스포츠조선닷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