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산한 산모들이 초기에 가장 많이 통증을 호소하는 부위가 '골반'이다. 분만 과정에서 여성의 신체는 큰 변환점을 맞는데, 이 가운데 골반의 변화가 가장 크다. 출산 시 아기가 좁은 산도를 쉽게 통과하려면 골반이 원활하게 벌어져야 한다. 이를 위해 분만 시 릴렉신 호르몬이 분비하며 골반을 유연하게 열어주고 관절을 부드럽게 만든다.
문제는 벌어진 골반이나 관절이 제대로 관리하지 않으면 출산 시 골반변형이 골반통증이나 체형변화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특히, 골반이 약해진 상태에서 무리하게 운동하면 자칫 골반이 틀어지며 목과 척추에 악영향을 끼칠 수 있어 유의해야 한다.
최우정 광동한방병원 산후센터 원장은 "출산 후 4주 후부터 적절한 산후관리와 산후골반교정을 추천한다"며 "조금만 신경을 쓴다면 이 시기가 오히려 바른 체형과 정렬상태를 만들 수 있는 최적의 시기이기도 하다"라고 설명했다.
실제로 출산 후 산전 몸무게로 돌아왔는데 이상하게 옷이 맞지 않는 경우, 근육보다 지방의 비율이 높거나 골반의 회복이 덜 된 것이 주요한 원인일 수 있다.
광동한방병원 산후센터는 출산 후 주치의를 통한 산후관리 및 산후 다이어트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주치의가 전부 여성과 주부인 한의사로 '출산 선배'로 공감할 수 있는 치료를 시행해 산모와 공감대를 형성하고 있다.
출산 후 허해진 기력을 보충하고 건강한 생체리듬에 맞춰 산후 통증에서 자유롭고 아름다운 몸매를 찾도록 돕는 치료를 병행한다. 이 과정에서 골반을 바로 잡는다. 입원하지 않고 병원에 주 1~2회 내원하는 방식으로 바쁜 워킹맘에게도 유용하다.
최우정 원장은 "산후비만 치료의 핵심은 무엇보다 '기혈허약'의 개선에 포커스를 두는 것"이라며 "산모가 성급하게 다이어트에 나서면 살이 제대로 빠지기는커녕 몸만 상하고 붓기가 오히려 살이 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여성은 출산한 후에도 한동안 임신 상태일 때처럼 배가 나오고 부기가 동반된다. 일반적으로 임신 중엔 체중이 12~16㎏ 가량 늘었다 출산 직후 5~7㎏ 정도만 빠진다. 이때 늘어났던 자궁이 서서히 제자리를 찾는데, 임신 전 모양과 크기로 돌아가려면 적어도 3~4주는 걸리므로 이 시기에는 체중감량보다 컨디션 관리에 집중해야 한다.
이규복 기자 kblee341@sportschosun.com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