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40만명이 넘었던 우리나라 출생아 수가 2040년에는 20만 명대로 추락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왔다.
19일 한국금융연구원의 '최근 신생아 수 감소 추이와 그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최근 발표된 2016년 출생아 수는 40만6000명으로 통계청 전망보다 훨씬 빠르게 줄었다. 통계청이 2011년 발표한 장례인구추계(2010∼2060년)의 전망치 45만7000명보다 5만명 넘게 적고, 지난해 12월 내놓은 장래인구추계(2015∼2065년)의 전망치 42만4000명보다도 1만8000명 적은 수준이다.
특히 통계청 장래인구추계는 2016년 이후 출산율이 증가하는 것으로 전망돼 있다는 점에서, 실제출산율과 전망치의 격차가 더 커질 수 있다는 지적이다. 통계청은 2015∼2065년 장래인구추계에서 중위 기준 합계출산율이 2016년 1.18명에서 2050년 1.38명까지 증가할 것으로 가정했다. 보고서는 지난해 여성 인구와 연령별 사망확률 등을 토대로 합계출생률이 현재 수준에 머무는 상황을 가정한 결과, 출생아 수는 2017년 39만7000명, 2040년 26만7000명, 2060년 20만명으로 줄어들 것으로 예상됐다고 밝혔다. 2060년 전망치는 통계청의 2015∼2065년 장래인구추계보다 무려 28%나 작은 수치다.
김소형기자 compact@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