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농간 소득격차가 커지고 있다. 지난해 농촌 가구의 소득이 도시근로자가구보다 2000만원 이상 적은 것으로 조사됐다.
농가소득 중 농업소득이 향상되지 않은 것이 소득 격차를 키웠다. 농업소득은 2003년 39.3%(157만원)에서 2018년 30.7%(1292만원)로 줄어들었다. 반면 농업보조금을 비롯한 이전소득과 겸업·사업소득을 포함한 농외소득의 비중은 커졌다. 2003년 농가소득 대비 이전소득 비율은 7.6%(203만원)에서 지난해 23.5%(989만원)로 증가했다. 농외소득의 비율은 2003년 35%(940만원)에서 2018년 40.3%(1695만원)로 늘었다. 농가소득 내에서 농업소득과 농외소득의 비중이 바뀐 셈이다.
농가 경제의 흑자 또는 적자 여부를 판단하는 '농가경제잉여' 금액 역시 전업농가보다는 1종 겸업농가(농업수입이 농업외수입보다 많은 농가)가 높았다. 지난해 1종 겸업농가의 농가경제잉여는 1479만원으로, 전업농가 650만원의 두배 수준에 달했다.
김세형 기자 fax123@sportschosun.com
사주로 알아보는 내 운명의 상대
눈으로 보는 동영상 뉴스 핫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