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중은행들이 일본의 백색국가(화이트리스트) 명단 제외 조치로 피해를 보는 중소·중견기업 지원에 나선다. 이르면 5일부터 일본 수출 규제로 피해가 예상되는 기업에 신규 자금을 지원하고 대출금리를 깎아주는 등 금융지원책을 시행하기로 한 것.
우리은행의 경우 '일본 수출규제 금융애로 전담 태스크포스'를 운영하며, 총 3조원 상당의 지원책을 마련했다. 반도체·디스플레이 등 대표적인 수출규제 피해산업의 협력사를 지원하기 위해 1조원 규모의 상생 대출을 지원한다. 신용보증기금과 기술보증기금에 특별출연해 이달 중 5000억원, 2020년까지 1조5000억원 규모의 여신을 지원한다. 당장 5일부터 피해기업의 유동성을 지원하기 위해 '경영안정 특별지원' 자금 500억원을 푼다. 피해가 예상되는 소재·부품기업에 최대 1.2%포인트 대출금리를 우대하고, 핵심 수수료를 전액 면제해주는 특화상품도 준비 중이다.
신한은행은 업체당 10억원까지 모두 1조원 규모의 신규 대출을 지원하기로 했다. 이번 수출 규제로 자금 운용에 일시적인 어려움을 겪는 기업에 분할 상환도 유예하고 신규 여신이나 연장 여신에 대해서 금리를 최고 1%포인트 감면해준다. 국내 제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 소재·부품 기업 여신지원 전문 심사팀도 새로 운영해, 해당 기업이 자금 지원을 신청하면 당일 심사를 원칙으로 즉각 대응한다는 방침이다. 신한은행 역시 '일본 수출 규제 금융애로 신고센터'를 설치해 피해 기업에 관련 정부 지원 정책 등 각종 정보와 재무 컨설팅을 제공한다.
NH농협은행도 5일부터 일본산 소재·부품 수입 기업에 할부상환금 납입을 최대 12개월 유예해준다. 해당 기업은 신용등급과 관계없이 상환기한을 연기할 수 있도록 했고, 신규 대출이나 상환 연기 시 금리를 0.3%포인트 낮춰주기로 했다. 농식품으로 수출 규제가 확대될 것에 대비해, 파프리카 재배 농가 등에 대한 금융지원도 고려 중이다.
김소형기자 compact@sportschosun.com
사주로 알아보는 내 운명의 상대
눈으로 보는 동영상 뉴스 핫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