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산 5조원 이상인 국내 64개 대기업 집단의 매출 규모는 우리나라 국내총생산(GDP)의 84% 수준이지만, 이들이 고용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11%에 그쳤다.
삼성의 전체 매출액을 국내 GDP와 비교했을 때 GDP의 16.4% 수준이다. 개별 계열사로 보면 삼성전자의 매출이 GDP의 8% 정도다.
64대 그룹의 지난해 당기순이익은 57조원이고, 이중 삼성의 순익이 19조원으로 34.3%를 차지했다.
이외에 포스코(2조1020억원·3.7%), 농협(2조960억원·3.7%)이 순이익 상위 5위에 들었다.
한편 64개 그룹의 매출 영향력이 이처럼 큰 것과는 대조적으로 고용 영향력은 낮았다. 64개 그룹 직원 수는 158만명으로 국내 전체 고용 인원 1386만명(12월 고용보험 가입 기준)의 11% 수준이다.
64개 대기업 그룹에 속하지 않는 기업이 고용의 약 90%를 차지하는 셈이다. 여기에 자영업자까지 포함하면 실제 대기업 집단의 고용 영향력은 더욱 낮아질 수 있다.
그룹별로 보면 삼성의 고용 인원이 26만명으로 64개 그룹 고용률의 16.5%를 차지했다. 이어 현대차(16만명,10.5%), LG(15만명,9.7%), SK(11만명,7.0%)
CXO연구소는 "국내 대기업 집단이 경제에 미치는 영향력이 크다는 것을 드러내는 수치"라며 "대기업이 매출에 비해 낮은 고용을 적극적으로 확대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미선 기자 already@sportschosun.com
▶무료로 보는 오늘의 운세
▶한화 무더기 2군행...김태균은 빠진 이유 [크보핵인싸]